-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결과 발표

1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에 따르면 호흡기, 감염성, 피부, 눈 질환 순으로 진료가 급증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국민건강보험공단 0~14세 어린이 진료내역 중 5~9월 자료를 토대로 작성됐다.
질병별로 살펴보면 호흡기 질환이 전체의 54.7%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진료 비중을 보였다. 냉방기기 장시간 사용과 실내외 온도 차이 영향을 받아서다. 이에 따라 에어컨은 1시간 가동 후 30분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 2~4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켜야 한다. 에어컨 필터는 최소 2주에 한 번 청소해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장염, 식중독, 구내염 등 감염성·기생충성 질환은 지면 온도가 25℃ 이상일 때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의 생존과 증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돼서다. 특히 어린이는 신장이 작고 지면과 가깝기 때문에 지면에서 발생하는 열과 먼지 등 오염물질에 더 쉽게 노출됐다.
피부와 눈 질환은 최저기온이 20℃ 이상일 때, 진료 건수가 증가했다. 밤 사이 신체의 충분한 회복이 어려운 기온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밤에도 고온이 지속될 경우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면역력이 약화돼 피부나 눈 등 외부 자극에 민감한 부위에서 염증·자극성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어린이의 수면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 온도를 24~26℃(1세 미만 영유아는 18~21℃), 습도는 40~60%로 유지하고, 어린이가 잠들기 전 미리 실내를 선선하게 만든 후 자는 동안에는 냉방 기기는 꺼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잠들기 1~2시간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시키고, 통기성 좋은 잠옷과 이불을 사용하는 것도 숙면에 도움이 된다”며 “기상과 취침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규칙적인 수면 습관과 함께, 잠들기 전 스마트폰이나 TV 등 전자기기 사용을 자제하면 뇌 자극을 줄여 수면 유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동아에스티 메타비아,신테카바이오와 AI 임상 계약...약물재창출 손잡은 이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티아라 효민 "할 건 다 해봐"…비상 계단서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미정상회담 언제하냐 질문에…트럼프 “한국과 훌륭한 관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PO 실패시 회수 어떻게?…구다이글로벌 CB 투자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독하면 200만원 주식 선물', 팜이데일리 8월 행사 시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