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더현대 서울’ 잘 나가네…개점 33개월 만에 연 매출 1조원 달성

기존 기록 2년 2개월이나 앞당겨
명품·K-팝 스타 관련 팝업스토어 등 인기 끌어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현대백화점 ‘더현대 서울’이 지난 2일 올해 매출 1조원을 달성했다고 3일 밝혔다. 

2021년 2월 26일 서울 여의도에 문을 연 더현대 서울은 개점 33월 만에 연 매출 1조원 점포라는 기록을 썼다. 종전 기록을 2년 2개월이나 당긴 것이다. 더현대 서울은 2021년에 매출 6700억원, 2022년 9509억원의 매출을 올린 바 있다. 

더현대 서울이 단기간에 연매출 1조원을 기록한 데는 ‘외국인 관광객’의 매출 증대가 핵심 동력이다. 올해 외국인 매출은 지난해에는 2021년 대비 731.1%가 증가했는데, 올해 1~11월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91.7%나 늘었다. 올해 현대백화점 전체 외국인 매출 평균 신장률(305.2%)의 3배에 이른다. 

이런 성장이 가능했던 이유로 K-팝 스타 관련 팝업스토어 유치가 꼽힌다. 지난 3월 BTS를 시작으로 르세라핌(5월), 아이브(6월), ITZY(8월), 블랙핑크(9월) 등의 팝업스토어가 열렸다. 또한 더현대 서울은 전체 영업 면적의 절반이 고객 휴식 공간과 실내 조경에 사용해 눈길을 끌고 있다. 20·30세대가 열광하는 온라인 기반 패션 브랜드 마뗑킴 등의 유치한 것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해외명품 매출도 올해 전체 매출의 25.6%를 차지하면서 매출 증가세에 한몫했다. 루이비통도 올해 연말에 더현대 서울에 오픈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사장은 "더현대 서울은 단순 쇼핑 공간에 머물던 백화점에 대한 인식을 깨고 '오프라인의 재발견', '공간 경험의 가치 극대화' 등 리테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대표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이어 " 최단기간 1조원 돌파 기록을 거둔 데는 글로벌 수준의 MD(상품 기획) 역량과 더현대 서울에서만 만날 수 있는 K-패션 브랜드 등 참신한 콘텐츠 발굴 노력, 이로 인한 객단가 상승 등의 요인 덕분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

실시간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