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족’이 새겨들어야 할 한은 총재의 “공짜는 없다”[부채도사]
이창용 “물가 목표치 가는 마지막 구간, 지금보다 쉽지 않을 것”
‘비둘기’된 미 연준과 다른 ‘고금리 장기화’ 예고
영끌족들도 가계부채 확대에 신중해진 분위기 감지
“세상에 공짜는 없다.”
물가 관리 수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말이다. 그는 12월 20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지난해 올랐어야 할 전기·도시가스와 대중교통비 등 공공요금 인상이 치솟던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늦춰졌던 점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향후 물가상승률을 2%로 낮추는 속도는 더 느려지게 됐고, 이를 감내할 국민의 의지가 중요해졌다는 점을 이 발언 안에 담아낸 것으로 풀이된다. 더 정확히 말하면, 현 기준금리가 생각보다는 오래 갈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이 총재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내놓은 ‘금리 인하 논의’ 발언과 관련해서도 시장의 과도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제가 BIS에서 (파월 의장을) 자주 봐서 그런지 시장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크게 (금리 전망이) 변했다고 생각을 안 한다”며 “어떤 면에서 비둘기적으로 보였지만 얼마나 오래 이걸(금리를) 가져가는지에 따라 (물가안정이) 달려 있다고 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국내의 금리 전망을 동일 선상에 놓고 말할 수 없다는 입장도 내놨다. 미 연준의 통화정책 외에 따져야 할 국내 상황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한은 입장에서 미 연준이 어떤 정책 방향을 보이더라도 ▲국내 가계부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준 ▲가계대출 및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에너지가격 변화 추이 ▲공공요금 인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물가 관리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설명으로도 풀이된다.
이 총재도 “미 연준이 더 이상 금리를 올리는 건 아니라는 점이 자리 잡았기 때문에 환율이라든지 자본이동 등 제약 조건이 풀린 것은 사실”이라며 “(한은이) 독립적으로 국내 요인을 보면서 통화 정책을 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더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신중해진 ‘매파’ 한은, 영끌족 부채 확대에 영향 줄 듯
이 총재의 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한은은 시장의 예상보다도 신중하고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이미 미국 채권시장이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에 크게 반응하고 있지만, 국내 금리 사정은 한은의 태도에 따라 철저하게 국내 물가에 초점을 맞춰 변할 것이란 분석이 더 설득력을 갖는다.
모든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기준금리에 대해 이 총재도 ‘인하 기대는 시기상조'라는 표현을 자주 썼다. 지난 20일 기자간담회에서도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마지막 한걸음(last mile)’은 지금보다 쉽지 않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전망을 충분히 고려해서 부채를 늘려야 한다는 조언이다.
매달 강해지던 가계대출 증가세도 최근 들어 주춤해졌다. 국내 고금리 상황이 미국보다 더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도 보인다. 한은에 따르면 11월 국내 은행 가계대출은 5조4000억원 증가했는데 전월 증가액보다 1조2000억원 줄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은행에서도 확신하기 어렵다”며 “한은에서 고물가에 대해 긴장을 늦추기엔 이르다고 전한 대로 은행도 부채 부실 관리를 더 신경 써야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고려대, 등록금 ‘5.49% 인상’ 검토
2바이든, 13일 ‘외교 성과’ 연설...한미일 협력 언급 전망
3‘역대급 추위’에...서울서 ‘수도 계량기’ 동파 속출
4유엔이 전망한 ‘한국 경제’ 성장률...“올해 2.2%”
5‘악마, 베르사체도 입을까’...“프라다, 인수 검토 중”
6대체거래소 출범해도 IPO 기업은 상장일 다음날 거래…왜일까
7현대차와 ‘드리프트 킹’의 만남...‘아이오닉 5 N DK 에디션’ 첫 선
8“작지만 강하다”...한국 ‘여권 파워’ 세계 3위
9“무안공항 참사, 잘못된 표현”...국토부·유가족 협의 ‘공식 명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