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사과·금배 계속된다…정부 “사과·배값, 햇과일 전까지 강세 지속”
배추·무 가격 상승 우려도…“비축량 공급”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지난달 급등한 사과 가격이 햇과일 출하 전까지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정부가 전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사과와 배는 저장량이 부족해 햇과일 출하 전까지 가격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햇과일 출하 시기가 보통 여름 사과와 배가 각각 이르면 7월, 8월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과와 배 가격은 올해 추석 전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상재해 여파 등으로 사과, 배 생산량이 각각 전년 대비 30.3%, 26.8% 감소했고 비정형과(못난이 과일) 생산이 늘었다.
이에 사과, 배 가격은 지난해 수확기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날 중도매인 판매가격 기준 사과와 배 가격은 각각 1년 전보다 125.4%, 122.6%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과 실수요자 등에게 판매하는 가격으로, 정부와 유통사 할인 등 지원 혜택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문제는 지난해 수확과가 계속 판매되면서 저장량이 점차 줄어든다는 점이다. 농식품부는 이와 관련 “설 성수기 사과와 배를 각각 평시 대비 2.1배, 2.6배로 늘려 공급하면서 설 이후 저장 물량은 다소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유통 현장에서도 햇과일이 나올 때까지는 사과, 배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농식품부는 저장량 부족에 따라 햇과일 전까지 사과, 배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할인 지원을 강화하고 대체 과일 공급을 확대하는 등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또 3∼4월 204억원을 투입해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13개 품목의 납품단가를 지원하고, 사과 1천t(톤)에 대해서는 산지 선별·운송비까지 추가로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이에 더해 유통사 할인과 정부 할인 지원까지 반영되면 사과 가격이 10% 이상 낮아지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산지·유통업체와 협업해 올해 수확기 전까지 월별 적정물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해 과일 물량이 일찍 끊기는 일이 없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일부 채소류도 봄철 공급량이 작년 동기보다 줄어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배추는 1월 하순 한파와 지난 달 중·하순 잦은 강우로 주산지인 전남에서 수확량이 감소해 3∼4월 공급량이 작년 동기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 달 비축한 물량 2000톤을 활용해 시장에 탄력적으로 방출하고 대형마트 납품단가 인하를 지원하기로 했다.
무 역시 제주에서 잦은 강우로 상품(上品) 가격이 상승할 우려가 있어 정부 비축물량을 방출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또 가격 강세를 보이는 대파에 대해서는 5월 이전까지 할당관세 물량 3000톤을 추가로 도입하고, 대형마트 납품단가 인하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충격 실화' 맥주효모, 아군 아녔다?…'건강과 무관' 울상
2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3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4“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5‘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6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7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8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9"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