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카카오모빌리티, 제주도 11.7km 구간 ‘레벨3 자율주행’ 운영…요금 ‘무료’
- 첨단과학기술국가산업단지와 인근 도로서 운영
라이드플럭스·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협력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라이드플럭스·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와 함께 제주도 내 11.7km 구간에 자율주행차 운영을 시작한다. 일단 별도의 요금은 받지 않을 계획이다.
이들이 밝힌 이번 서비스는 레벨3 자율주행(운전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 없이 차량 시스템이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거나 추월을 할 수 있는 단계)이다. 라이드플럭스는 자율주행 기술을 갖춘 딥테크 스타트업으로 꼽힌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제주도 내 첨단과학기술단지 일대에서 ‘네모라이드’(NEMO ride)를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지역 커뮤니티에 특화된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는 취지다. 네모라이드 서비스는 ‘제주첨단과학기술국가산업단지’와 제주도 첨단로 인근 도로 총 11.7km에 이르는 지역에서 운영된다. 이용 가능 시간은 평일 오전 11시부터 저녁 6시까지다. 운행 지역에는 산업단지와 제주대학교 아라캠퍼스가 포함돼 있다.
‘네모라이드’(NEMO ride)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한 뒤 출발·도착지와 승차 인원 등을 설정하면 된다. 출발지로 자율주행차량이 도착해 원하는 곳까지 승객을 데려다주는 식이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라우팅 기술을 적용, 같은 시간 내 동선이 겹치는 승객들은 버스를 이용하듯 일부 구간을 함께 이동하고 따로 내릴 수도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내 근로자・대학생 등의 이동 수요는 높지만, 대중교통 서비스가 부족하고 자차 비중이 높다‘며 ”교통 체증이 심하고 주차 공간이 부족한 것이 고질적인 문제로 꼽혀왔다. 구간 내 도로의 경사도가 높아 퍼스널모빌리티(PM)를 통한 이동에도 어려움이 존재했다“고 전했다.
라이드플럭스는 복잡한 도심환경과 악천후에도 운행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을 갖춘 기업으로 꼽힌다. 이번 협업에선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개발과 차량 운영을 담당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모빌리티 플랫폼 운영 노하우와 관제역량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서비스 호출 플랫폼 개발 및 운영 인프라 구축을 맡았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세종시·판교·대구광역시 등 다양한 환경에서 대시민 자율주행 서비스를 운영하며 평점 5점 만점에 4.98점을 받고, 재이용률 67%에 이르는 높은 만족도를 끌어낸 바 있다”며 “라이드플럭스와 함께 실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자율주행 서비스를 구현해 지역 커뮤니티 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박중희 라이드플럭스 대표는 “향후 레벨4 자율주행(특정 환경에서는 자동차가 모든 자율주행 기능을 지원해 운전자 개입이 없는 수준) 기술로 모든 사람이 더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동하는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