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홍콩 ELS' 자율 배상한다...투자자 협의에 촉각

신한은행 약 10명에 배상금 지급
협의 후 분쟁 조정·줄소송 우려도

이복현 금감원장과 은행연합회 회동이 열린 지난달 18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 앞에서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피해자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일부 은행이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와 협의를 마치고 배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다만 개별 투자자에 대한 배상률 등을 확정할 위원회도 없는 은행이 많아 투자자와의 협상이 본격화되는 시점은 이달 중순 이후로 예상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4일 10여 명의 H지수 ELS 투자자에게 배상금을 지급했다. 지난달 29일 이사회에서 자율배상이 의결된지 엿새만이다. 신한은행은 지난주 자율조정협의회를 열고 일부 투자자에 대한 배상안(배상률 등)을 심의·의결했다. 이후 해당 투자자에게 배상 대상 확정 사실과 협의 방법 등을 안내했다. 이를 통해 투자자와 협의를 진행했고, 약 10명의 투자자와 합의가 이뤄졌다고 알려졌다.

주요 은행이 투자자에게 배상금을 지급한 것은 하나은행 이후 두번째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28일 자율배상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개별 배상안을 일부 투자자에게 알렸다. 배상안에 동의한 투자자에게는 배상금을 지급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H지수 ELS 만기 도래로 손실이 확정된 사례가 확인됐기 때문에, 일찍 배상 사전 작업을 했다.

하지만 은행이 투자자와 배상을 본격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자율배상에 나선 7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SC제일·씨티)의 올해 만기 도래 H지수 ELS 계좌 수가 20만개에 이르기 때문이다. 판매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은 배상에 앞서 전수 조사한 계좌(1∼7월 만기 도래)만 8만여 개다. 배상 협의를 준비하는 데 하나은행, 신한은행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에서는 이달 중순께 첫 배상 사례가 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이후 중도 해지 등으로 손실액이 확정된 투자자를 대상으로 우선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계좌별 배상 비율과 금액을 산출해 투자자에게 안내하고, 투자자가 이를 수용하면 수일 내 입금 처리를 마치는 프로세스를 준비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H지수 ELS 가입 계좌를 전수 조사하고 있다. 투자자에 대한 배상 협의 통지는 시작하지 않았다. 배상 대상이 명확한 계좌와, 더 분석이 필요한 계좌 등을 분류하고 있으며,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하 경험도 없어 배상 체계를 개발하는 작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450명가량의 가입자에게 "손실이 발생하면 인근 영업점을 통해 협의하겠다"는 요지의 문자를 보냈다. 오는 12일부터 만기 도래와 함께 손실률이 확정되면, 영업점이 투자자와 개별 접촉을 시작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판매액이 가장 적은 은행이기도 하다.

SC제일은행 등은 배상과 관련한 위원회도 구성하지 못했다.

투자자와 협의 관건...난항 우려도

이달 중순 이후 배상 협의가 시작된다고 해도, 배상금 지급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은행과 투자자가 배상률에서 의견이 다르기 때문이다.

은행이 금융당국 배상안을 기초로 산정한 배상률이 100%에 이를 수도 있으나, 배상률은 약 40% 정도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부 투자자는 ELS와 같은 고위험 투자상품이 은행에서 판매된 사실 자체가 불합리하다며, ELS 투자 경험이나 투자자 자기 책임 원칙 등을 따지지 말고 모든 투자자에게 100% 배상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은행과 투자자가 배상 협의와 조정에 실패하면, 금융당국의 분쟁 조정이나 소송 단계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6개 은행이 판매한 H지수 연계 ELS 상품 가운데 올해 초부터 지난 22일까지 3조9114억원어치의 만기가 돌아왔다.

하지만 고객이 돌려받은 돈(상환액)은 1조9398억원뿐이다. 평균 손실률은 50%이며, 손실액은 1조9716억원이다. 원금은 3조9114억원이었다. 상품 만기일마다 손실률은 다르지만, H지수가 5000선 아래로 밀린 지난 1월 하순 만기를 맞은 일부 상품의 손실률은 약 60%에 이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설립 두 달 만에 네이버 ‘픽’…스탠퍼드 출신 창업자의 AI 비전은?

2차바이오텍, 신주 발행 등 748억원 수혈…“재생의료·CDMO 투자”

3알바생이 ‘급구’로 직접 뽑는 ‘착한가게’

4“삼성이 하면 역시 다르네”…진출 1년 만에 OLED 모니터 시장 제패

5 ‘여자친구 살해’ 20대 의대생 구속영장 발부

6‘네이버 색채’ 지우는 라인야후…이사진서 한국인 빼고 ‘기술 독립’ 선언

7NCT드림이 이끈 SM 1Q 실적…멀티 프로덕션 구축에 수익성은 악화

8삼성메디슨, 프랑스 AI 스타트업 ‘소니오’ 품는다…“우수 인력 확보”

9데일리펀딩, SaaS 내재화해 지속 성장 거버넌스 구축…흑자 전환 시동

실시간 뉴스

1설립 두 달 만에 네이버 ‘픽’…스탠퍼드 출신 창업자의 AI 비전은?

2차바이오텍, 신주 발행 등 748억원 수혈…“재생의료·CDMO 투자”

3알바생이 ‘급구’로 직접 뽑는 ‘착한가게’

4“삼성이 하면 역시 다르네”…진출 1년 만에 OLED 모니터 시장 제패

5 ‘여자친구 살해’ 20대 의대생 구속영장 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