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한 번 인하도 버겁다'…美 '6월 금리 인하설' 또 폐기 수순
- 3월 미 CPI 전년 동월 대비 3.5%↑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 "6월 금리 인하 부적절할 수도"

금융권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5% 상승했다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3.5% 상승률은 지난해 9월(3.7%)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물가상승률은 2월에 기록한 3.2% 대비 크게 오른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3.4%)도 웃돌았다.
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8%, 전월 대비 0.4% 각각 상승해 모두 전문가 예상치보다 0.1%포인트(p) 높았다.
미 연준은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로 안정적으로 둔화되고 있다고 확신할 때까지 금리 인하를 서두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입장이다. 이는 미 연준이 10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 나온 위원들의 견해다.
의사록은 "회의 참석자들은 강한 경제 모멘텀을 가리키는 지표와 실망스러운 인플레이션 지표에 주목했다"며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더 강한 확신이 들기 전까지는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게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모든 참석 위원은 경제가 예상 경로로 움직일 경우 연내 어느 시점에선가 긴축 정책을 완화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의사록에서 위원들은 심각한 공급 병목현상이나 운임 상승을 초래해 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고 지적했다.
이런 이유로 미 연준이 6월에 금리를 인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받고 있다.
연준 내 매파(통화긴축 선호)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지난 4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이 계속 횡보하면 금리 인하가 정말 필요한지 의문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로렌스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6월 통화정책에 대한 처방전을 내놓고 싶지 않다"면서도 "현 상황에서는 (6월) 금리 인하가 부적절한 행동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지난 5일(현지시간) 미셸 보먼 미 연준 이사는 심지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멈추거나 반등한다면 향후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높여야 할 필요가 생길 위험이 있다고 지속적으로 생각한다"라고 밝히기까지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