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3월 도매물가 전월 대비 0.2%↑…상승률은 둔화
2월 0.6% 증가서 상승률 낮아져
향후 미 소비자물가 상승률 상승 압력 낮출 수도

미 노동부는 지난 3월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0.3% 상승을 예상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치를 밑돌았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2.1% 오르면서 지난해 4월(2.3%)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최종수요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3% 오른 반면 최종수요재 가격이 전월 대비 0.1% 떨어지면서 서비스 가격 상승을 상쇄했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는 3월 들어 전월 대비 0.2% 상승하며 전문가 전망치(0.2%)와 같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8% 상승했다.
시장은 최근 물가 흐름을 신속하게 반영하는 전월 대비 지표의 상승률에 주목했다.
앞서 미국의 생산자물가는 지난해 10월 0.4%(이하 전월 대비), 12월 0.1% 연이어 하락하다가 올해 1월 0.4%, 2월 0.6% 각각 상승해 시장 긴장감을 높였다.
연초 예상 밖으로 가파르게 상승한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실제로 미 노동부가 밝힌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5% 상승했다. 지난해 9월(3.7%)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다만 3월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주춤해지면서 최근 몇 달 새 높아진 물가지표에 긴장했던 시장도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한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인플레이션이 2%로 안정적으로 움직인다는 확신을 얻기 전까지는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강조했다.
미 연준이 10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들은 "강한 경제 모멘텀을 가리키는 지표와 실망스러운 인플레이션 지표에 주목했다"며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더 강한 확신이 들기 전까지는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게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라고 언급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