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국제유가 고공행진에 ‘에너지ETF’ 뜬다
-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ETF’ 3개월 수익률 22%
키움운용 "원유선물 아닌 에너지기업 주식에 투자"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중동 지역 분쟁으로 국제유가가 연일 상승하면서 에너지 업종을 주로 담은 상장지수펀드(ETF)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키움투자자산운용의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은 지난 1월 16일 상장 후 이달 16일까지 21.9%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상장 ETF 성과 기준 상위 3.5%에 해당한다. 최근 한 달 동안에만 12.13% 올랐다.
개인투자자는 최근 17거래일 연속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ETF를 순매수했다. 상장 후 3개월 동안 단 6거래일을 제외한 전일 개인투자자의 순매수 행렬이 이어졌다.
수급 불안과 지정학적 요인 등으로 급등 중인 국제유가가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ETF의 성과를 이끌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의 감산 지속으로 원유 수급은 빠듯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이란과 이스라엘의 무력 충돌로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중동 분쟁 장기화와 타이트한 공급 환경으로 국제유가가 올 하반기까지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두고 있다.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ETF는 유가 상승 시 수혜를 보는 미국 원유 및 가스 기업 110여개에 분산투자한다. 3월 말 기초지수 기준 엑손모빌(22%), 쉐브론(13.5%), 코노코필립스(7.2%) 등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다. 이런 기업들은 유가와 밀접한 사업을 하는 만큼 유가 상승 국면에서 실적과 배당, 주가가 긍정적 흐름을 보인다.
미국 에너지기업은 대표적인 고배당주이기도 하다. 이 ETF 기초지수(MSCI US IMI Energy 25-50 Gross Total Return USD Index)의 배당수익률은 2021년 3.8%, 2022년 3.56%, 2023년 3.44%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원유선물이 아닌 에너지기업 주식에 투자하고, 합성형이 아닌 실물형으로 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물이 아닌 상장 주식에 투자하면 선물 투자에 따르는 롤오버 비용 없이 유가 방향성에 투자할 수 있다.
합성형 상품은 증권사와의 스왑 거래로 기초지수 수익률을 복제하므로 포트폴리오에 배당이 발생하지 않지만, 기초지수 구성종목을 직접 편입하는 실물형 상품은 편입 종목에서 나오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정성인 키움투자자산운용 ETF마케팅사업부장은 “원유 공급이 제한적이고 수급 우려는 높아지는 가운데 수요는 견조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국제유가는 지속적으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제유가에서 투자 기회를 찾으면서 원유선물 대비 변동성이 낮고 배당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을 찾는다면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 ETF를 주목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전주 제지공장서 멘홀 작업자 유독가스 흡입…2명 사망(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SSG 최정 "현재 몸 상태 80%" 감독 판단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법원장 탄핵 군불때는 민주…법조계 "이성 되찾아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마이너스 손’ 앵커PE, 로시안 투자도 성과 없이 종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 월간 맥짚기]기업가치 평가 시험대 열렸다...주인공 누가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