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엔비디아 쇼크’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株↓ [증시이슈]

엔비디아 주가 10% 급락...SK하닉 3%대 약세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10% 급락하면서 국내 반도체 대장주도 일제히 하락세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10% 급락하면서 국내 반도체 대장주도 일제히 하락세다. 앞서 TSMC가 실적 전망을 하향하면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오전 9시 50분 기준 삼성전자(005930)는 전 거래일 대비 1100원(1.42%) 내린 7만6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도 3.06% 내린 16만8000원에 거래 중이다. 이 외에 한미반도체(042700)(-6.67%), 리노공업(058470)(-6.03%), 동진쎄미켐(005290)(-2.93%), DB하이텍(000990)(-0.49%) 등 다른 반도체주도 주가가 내리고 있다.

엔비디아의 급락은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TSMC가 실적 전망을 낮춘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18일 TSMC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메모리 제외)의 성장률을 '10% 이상'에서 '약 10%'로 하향 조정했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성장률 전망치도 '약 20%'에서 '10%대 중후반'으로 내렸다. 전 세계 AI 칩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는 엔비디아는 자체 설계한 AI 칩 제조의 대부분을 TSMC에 맡긴다.

이에 엔비디아는 전장보다 10% 급락한 762달러(105만원)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2월 21일 이후 가장 낮은 주가이며, 낙폭은 2020년 3월 이후 가장 컸다. 이 밖에 반도체 주요 종목인 AMD(―5.4%), 마이크론(―4.6%), 인텔(―2.4%), 퀄컴(―2.4%) 등의 주가도 하락했다. 그 결과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4.1% 내림세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상폐 위기 처한 위믹스...김석환 대표 “최선 다해 소명 노력”

2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3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4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5“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6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

7"팬들 제보 모여 범인 잡았다"...하이브 아티스트 딥페이크 피의자 8명 검거

8‘강남스타일’에서 ‘금융스타일’로…iM금융, 싸이 광고 온에어

9부동산원, ‘당근마켓’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

실시간 뉴스

1상폐 위기 처한 위믹스...김석환 대표 “최선 다해 소명 노력”

2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3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4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5“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