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1인당 GDP 4만불 달성 가능할 것"
"반도체 제조 부문엔 세제·금융지원 적절"
"성장률 전망 상향 검토"

최 부총리는 4일(현지시간) 오후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진행한 한국 기자단과 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도 성장률과 환율이 관건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실질적으로 국민이 느끼기에 4만불이 넘는 선진국에 가까이 갔다는 것을 좀 더 공감할 수 있게 하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2.2%) 상향을 검토하고 있다며 "성장률을 전망하는 기관들은 다 비슷한 작업을 하고 있을 것이고, 수준도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3%를 기록하는 등 예상을 웃돈 데 대해 "국민들이 체감하기에는 이르지만, 수출과 국내 생산 등이 좋아지는 자체가 지표상 나타나고 있다는 데에 고맙게 생각한다"고 했다.
'체감경기가 나쁜데, 정부가 낙관적 전망에 취해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경제도 심리적인 측면이 있는데, 경제부처 공무원은 가능한 한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것과 너무 낙관적이지 않으냐는 시각 사이에서 고민한다"고 답했다.
최 부총리는 "경제주체 심리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지표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경제지표만 놓고 모든 것을 낙관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반도체 보조금과 관련한 질문에 "재정지출과 세제지원은 역할이 다르다"며 "민간이 못하는 부분에는 보조금을 줘야 하지만 기업들이 잘하는 부분은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세제지원과 금융지원을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그는 "제조역량이 떨어지는 일부 선진국은 보조금을 줄 수 있지만 우리의 경우 반도체에서 약한 부분이 생태계, 소재·부품·장비, 인프라 부문"이라며 "민간이 못하는 이러한 부문은 정부가 재정지출을 하고, 기업이 잘하는 부문은 세제지원과 금융지원을 하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이어 "반도체는 굉장히 중요한 국가전략산업이기 때문에 반도체 초격차, 내지는 우리가 좀 떨어지는 부분을 따라잡는 것은 중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 대통령, 최종 진술에서 “직무 복귀하면 개헌 추진”
2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3'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4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5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6‘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7"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8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9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