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6분기 연속 흑자...제주항공, 1분기 영업익 751억원
- 매출 5392억·영업익 751억...분기 최대 실적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제주항공이 올해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2022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흑자 기록을 세웠다.
7일 제주항공이 공시한 1분기 잠정 실적에 따르면 회사의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한 539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분기 매출액 3913억원과 비교해 37.8% 증가한 수치이다.
제주항공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2% 늘어난 751억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 1분기 영업이익 578억원과 비교하면 29.9% 늘어난 것이다.
제주항공은 1분기 최대 실적의 주요 요인으로 견고한 중·단거리 여행 수요를 꼽았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일본·중화권·베트남·필리핀·괌/사이판 등 제주항공이 취항하는 중·단거리 국제선의 올해 1분기 수송객 수는 1810만7337명으로 같은 기간 전체 국제선 수송객 2160만7700명의 83.8%를 차지했다.
특히 일본 노선의 경우 엔저 효과로 올 1분기에만 620만5279명의 수송객 수를 기록했다. 2019년 1분기 585만2853명과 비교하면 6% 증가한 것이다. 경기 침체 전망과 고물가·고환율 등의 부담으로 비교적 경비 부담이 적은 중·단거리 여행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는 게 제주항공 측 분석이다.
제주항공의 효율적인 기재 운영 전략 또한 이번 1분기 호실적에 큰 역할을 했다. 올해 1분기말 기준 제주항공의 보유 기재수는 총 42대(여객기 40대·화물전용기 2대)다. 2019년 1분기 기준 보유 여객기 40대와 같고, 지난해 1분기 38대(여객기 37대·화물기 1대) 대비 3대 많은 것이다.
이처럼 항공기 운용 효율을 극대화한 결과, 기재수가 동일했던 2019년 3913억원 대비 37.8%, 3대 적었던 지난해 4223억원 대비 27.7% 증가한 5392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견고한 중·단거리 여행 수요에 맞춘 선제적이고 탄력적인 노선 운영을 통해 중국 노선 회복 지연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며 “중국 노선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38%…한덕수·김문수·홍준표 7% [한국갤럽]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태연, 日 도쿄 공연 이틀 앞두고 돌연 취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예견된 허가 불발…녹십자 국산 결핵백신 사업, 결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