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저축은행 부실채권 정리 위한 2000억원 자체펀드 조성”

22개 저축은행, 자체적 펀드 조성 나서기로
캠코와 약 2000억원 수준의 채권 매각도 진행

서울의 한 저축은행 앞.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 정리를 위해 캠코와 약 2000억원 수준의 채권 매각에 더해 22개 저축은행 자체적으로 2000억원 수준의 펀드 조성을 추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번 2차 펀드 조성은 지난 3월 33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정리 펀드(1차)의 투자 완료에 이어 추가로 PF대출 취급 상위사 및 지주계열 저축은행 중심으로 이뤄진다. 중앙회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투자 진행을 위해 복수의 운용사를 선정해 펀드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화경 중앙회장은 “그간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PF자산 매각 등 자구노력을 해왔으나 시장의 수요 및 가격 차이, 대주간 협의 어려움 등으로 매각에 애로를 겪어 왔다”며 “이번 펀드가 이러한 부분에 대한 보완 기능을 통해 저축은행 부실자산 정리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업계가 스스로 PF대출 연착륙을 위해 자발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했다. 

한편, 금융당국이 지난 5월 14일 발표한 ‘부동산 PF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과 관련해 중앙회는 PF사업장의 재구조화 및 유동성 지원, 저축은행 유가증권 투자한도 등 한도 규제의 한시적 완화와 같은 인센티브 제공은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과 관련해 일부에서는 저축은행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으나, 저축은행 업권은 충분한 자본적정성을 보유하고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으로 충분히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의 지나해 말 BIS비율은 14.35%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법정 BIS자기자본비율은 자산 1조원 이상은 8%, 자산 1조원 미만은 7%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앞으로도 참여 저축은행 확대 및 다양한 매각 구조 검토 등을 통해 추가적인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경공매 활성화, 자체상각 등을 통해 부실자산을 조속히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NH농협카드 “NH페이로 해외QR결제하고 15% 즉시할인 받으세요”

2美 전기차 시장서 테슬라 점유율 '뚝뚝'...현대·기아 '쑥쑥'

3신한카드, ‘제1기 쏠트래블 대학생 해외 원정대’ 발대식 개최

4日 새 지폐 인물에 '일제강점기 침탈 장본인'...서경덕 "역사 수정하려는 꼼수"

5멀쩡한 사람을 성범죄자로 오인..."화성동탄경찰서장 파면하라"

6'기부의 왕' 워런 버핏, 자선단체에 7조원 기부

7최태원 "AI 경쟁력 강화하라"...SK, 2026년까지 80조 확보

8푸드테크는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을 것인가

9이 가격 실화?...이마트, 삼계탕·호주산 와규 등 파격 할인

실시간 뉴스

1NH농협카드 “NH페이로 해외QR결제하고 15% 즉시할인 받으세요”

2美 전기차 시장서 테슬라 점유율 '뚝뚝'...현대·기아 '쑥쑥'

3신한카드, ‘제1기 쏠트래블 대학생 해외 원정대’ 발대식 개최

4日 새 지폐 인물에 '일제강점기 침탈 장본인'...서경덕 "역사 수정하려는 꼼수"

5멀쩡한 사람을 성범죄자로 오인..."화성동탄경찰서장 파면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