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서울시, 3년간 신혼부부에 공공주택 4400호 공급
- 초저출생 대응책 마련에 직접 나서
오세훈 시장 "아이 낳으면 사회가 키운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서울시가 2026년까지 3년간 신혼부부에게 공공주택 4396호를 공급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초저출생 극복을 위해 서울시가 내놓은 종합 지원 대책이다. 무자녀 신혼부부도 공공주택에 입주할 수 있고 입주 후 아이를 낳으면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다자녀 가구에는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시청 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저출생 대응 신혼부부 주택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올해에는 강동구 둔촌동의 올림픽파크포레온 300호 등 장기전세주택 2396호 등을 공급한다. 공공이 매입하는 매입형 임대주택이 1469호, 공공주택사업자가 직접 짓는 ‘건설형’ 임대주택이 927호다.
장기전세주택은 6개월 안에 혼인신고 할 계획인 예비부부나 결혼한 지 7년 이내의 부부가 입주할 수 있다. 거주 기간을 연장해 최대 10년까지 살 수 있는데, 자녀 1명을 낳을 경우 20년까지 거주 가능 기간이 늘어난다. 자녀 2명을 낳으면 20년이 지난 이후 집을 시세보다 10%, 3명이면 20% 저렴하게 매입할 수도 있다.
유자녀·무자녀 부부에 각각 50%의 물량을 배정하지만, 자녀가 있는 가구에 방 2개 이상 평형을 우선 배정한다.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아 입주를 위한 소득 기준 완화도 추진한다. 전용면적 60㎡ 이하 공공임대주택 신청 대상은 가구당 월평균 소득 120% 이하(맞벌이 가구 180%), 60㎡ 초과는 가구당 월평균 소득 150% 이하(맞벌이 가구 200%)다. 소유한 부동산은 2억1550만원 이하여야 하며 자동차(3708만원 이하) 기준도 맞춰야 한다.
자녀를 1명을 낳을 때마다 재계약 시 적용하는 소득 기준도 20%포인트씩 올린다. 자녀가 많은 가구일수록 소득이나 재산 기준이 완화된다는 것이다. 해당 주택은 역세권 350m 이내 또는 간선도로변 50m 이내에 마련했다.
서울시는 오는 6월 시범 대상지를 모집해 7월 중 조례와 운영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행정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저출생 문제는 국가 존립과 직결되는 범사회적 과제며 서울은 더 긴박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그동안 장기전세주택이 출산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됐던 것처럼, 서울시가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본다는 각오로 신혼부부 주택 확대 방안을 내놨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서울시가 모든 방법을 동원해 아이를 낳기만 하면 사회가 함께 키우는 시스템을 정착하고, 필요한 자원을 최우선으로 투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