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의대 교수들 ‘전체 휴진’ 투표 연장…6일 결과 발표

현재까지 과반 찬성
“정부 발표 숙지 후 신중하게 투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4일 서울 종로구 연건캠퍼스에서 총파업 논의를 위한 총회를 하고 있다. 총회는 온라인 참석과 병행해 열렸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서울대 의과대학과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체 휴진’ 여부를 결정하는 총파업 투표를 연장하기로 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4일 오후 전체 교수들이 모이는 총회를 열어 당초 이날 하루 실시하기로 한 총파업 투표를 6일 오전까지 연장하고 당일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정부가 복귀한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절차를 중단하고, 수련병원장에 내렸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한다고 밝힌 만큼 좀 더 폭넓은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같이 결정했다.

단 정부의 조치를 긍정적으로 해석했다기보다는 내용을 좀 더 명확히 파악하고, 더 많은 교수들의 의견을 받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어 기간을 연장했다고 비대위 관계자는 설명했다.

비대위 등 의료계는 이날 정부가 복귀 전공의에 대해 발표한 ‘행정처분 중단’ 조치가 단순히 효력을 일시 정지하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총회에 참석한 한 교수는 “정부가 복귀한 전공의가 전문의를 딸 때까지 행정처분을 중단한다는 건, 앞으로 전공의들이 다시 들고일어나지 못하게 하려는 게 아니냐”고 지적하며 “오늘 복지부 장관이 발표한 내용을 좀 더 숙지하고 총파업에 대해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비대위에서 홍보를 담당하는 오승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교수 역시 의견을 모으는 데 시간이 좀 더 필요해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오 교수는 “사안이 사안인 만큼 더 많은 교수들의 의견을 모으고자 기간을 연장한 것”이라며 “현재까지 진행된 투표에서는 65%가 휴진에 동의했으나 더 많은 교수들의 참여를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총파업은 응급실과 중환자실이나 분만, 신장 투석 등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적인 분야를 제외한 전체 진료과목의 외래와 정규 수술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참여했던 휴진과 달리 필수 의료 분야를 제외한 전체 교수들이 한 번에 휴진하는 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예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2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3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4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5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6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7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8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9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실시간 뉴스

1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2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3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4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5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