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직장인 42.5% “주당 최대 근로시간 줄여야”

기존 52시간에서 48시간으로
직장인 과반, 연장근무 최대 2시간 적당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연장근로 시간을 포함한 주당 최대 근로 시간 상한을 52시간에서 48시간으로 최대 4시간 줄여야 한다고 판단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2∼13일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5%는 ‘적절한 주당 최대 근로 시간 상한’에 대해 ‘48시간’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이어 응답자의 35.2%는 ‘52시간’이라고 답했다. 근로 시간 상한을 52시간보다 늘려야 한다는 응답은 22.3%에 그쳤다.

적절한 1일 최대 연장 근로 시간 상한을 묻는 문항(하루 8시간을 기본 근로 기준)에는 ‘2시간’(총 10시간)이 5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루 8시간 이상 연장근로를 해도 된다는 응답은 6.2%였다.

직장갑질119는 지금보다 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지만, 이와 달리 직장인 36.3%가 조기 출근·야근·주말 출근 등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초과근무를 하는 직장인 중 39.1%는 주당 평균 6시간 이하, 35.5%는 6시간∼12시간을 더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12시간 이상의 초과근로를 하고 있다는 응답도 25.4%에 달했다. 한 주에 12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한다는 응답은 정규직(23.1%)보다 비정규직(30.6%)에서 더 높았다.

직장갑질119는 초과근로의 문제가 임금체불 문제와 맞닿아 있다고 짚었다. 특히 회사가 포괄임금제나 고정OT(추가근로) 수당제로 공짜 노동을 당연하게 요구하거나, 연장근로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도 연장근로 자체를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유형의 상담이 연일 들어오고 있다고도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2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3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4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5“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

6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출시...가격 99만원부터

7올해 가상자산 포인트는 ‘기관 투자자’...코빗 리서치센터

8‘200번째 LNG선’ 인도한 한화오션...세계 최초 기록 달성

9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실시간 뉴스

1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2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3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4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5“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