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직장인 42.5% “주당 최대 근로시간 줄여야”

기존 52시간에서 48시간으로
직장인 과반, 연장근무 최대 2시간 적당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연장근로 시간을 포함한 주당 최대 근로 시간 상한을 52시간에서 48시간으로 최대 4시간 줄여야 한다고 판단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2∼13일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5%는 ‘적절한 주당 최대 근로 시간 상한’에 대해 ‘48시간’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이어 응답자의 35.2%는 ‘52시간’이라고 답했다. 근로 시간 상한을 52시간보다 늘려야 한다는 응답은 22.3%에 그쳤다.

적절한 1일 최대 연장 근로 시간 상한을 묻는 문항(하루 8시간을 기본 근로 기준)에는 ‘2시간’(총 10시간)이 5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루 8시간 이상 연장근로를 해도 된다는 응답은 6.2%였다.

직장갑질119는 지금보다 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지만, 이와 달리 직장인 36.3%가 조기 출근·야근·주말 출근 등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초과근무를 하는 직장인 중 39.1%는 주당 평균 6시간 이하, 35.5%는 6시간∼12시간을 더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12시간 이상의 초과근로를 하고 있다는 응답도 25.4%에 달했다. 한 주에 12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한다는 응답은 정규직(23.1%)보다 비정규직(30.6%)에서 더 높았다.

직장갑질119는 초과근로의 문제가 임금체불 문제와 맞닿아 있다고 짚었다. 특히 회사가 포괄임금제나 고정OT(추가근로) 수당제로 공짜 노동을 당연하게 요구하거나, 연장근로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도 연장근로 자체를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유형의 상담이 연일 들어오고 있다고도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2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3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4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5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6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7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8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9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실시간 뉴스

1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2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3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4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5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