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절반 “현행 최저임금 과하다”…내년 최저임금 상승에 부담 커
경영 위협 요건으로 높아진 물가로 인한 인건비 상승 꼽아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최저임금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기업, 노동계, 정부의 의견이 분분하다.
커리어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828개사를 대상으로 ‘최저임금과 인건비 부담’ 관련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행 최저임금(2024년 기준 9860원)이 ‘너무 높다’고 생각한 기업이 절반 가까이(49.3%)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하다’는 30.9%, ‘더 많이 인상해야 한다’는 19.8%로 집계됐다.
최저임금이 높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최저임금 인상으로 물가가 덩달아 올라서’(48.3%, 복수응답)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이어 ‘경영 환경이 너무 힘든 상황이라서’(42.4%), ‘최저임금 부담에 따른 폐업, 채용 축소를 할 수밖에 없어서’(41.4%), ‘지난해 이미 최저임금이 너무 많이 올라서’(32.6%), ‘현재 경제 상황에 맞지 않아서’(29.4%) 등을 선택했다.
2025년 최저임금과 관련해서는 ‘동결돼야 한다’(41.7%)고 생각하는 비중이 가장 많았지만 ‘인상해야 한다’(31.6%)는 의견도 존재했다. 지금보다 인하해야 한다는 26.7%였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대책으로는 ‘채용 규모 축소’(36.8%, 복수응답)를 우선적으로 꼽아 내년도 고용시장도 녹록지 않음을 보여줬다. 이어 ‘연봉 동결’(25.8%)이 뒤를 이었다. ‘별다른 대책 없다’는 기업도 24.9%나 됐다. ‘근로시간 단축’(19.8%), ‘직원 구조조정’(18.8%), ‘상여금 지급 중단’(16.4%)을 고심하는 기업도 있었다. 아직까지 ‘키오스크, AI 등 무인 기술 도입’(6.3%), ‘임금피크제 도입’(4.1%)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기업들은 경영 위협의 요소로 ‘인건비 상승’(54.8%, 복수응답)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불황 장기화로 인한 불확실성’(53.6%), ‘원재료비, 임대료 등 각종 물가 상승’(46%), ‘소비부진으로 내수 위축’(26.1%), ‘채용 실패로 인한 구인난’(21.9%), ‘우수 인재의 이탈’(15.7%) 등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한편, 기업들이 실제 최저임금으로 가장 적정하게 생각하는 금액 범위는 ▲8,500~9,000원미만(34.7%), ▲9,500~1만원 미만(23.3%), ▲1만~1만500원 미만(14.9%)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2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3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4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5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6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7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8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9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