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최저임금 2차 수정안, 노동계 1만1150원·경영계 9900원…격차 1250원

1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10차 전원회의에서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오른쪽 끝)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사용자위원 운영위원인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 류기정 경총 전무, 근로자위원 운영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내년 최저임금 수정 요구안으로 노동계가 시간당 1만1150원, 경영계는 9900원을 내놓았다.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10차 전원회의에서 근로자와 사용자위원들은 이 같은 2차 수정안을 각각 제시했다.

지난 9차 회의에서 내놓은 1차 수정안인 노동계 1만1200원, 경영계 9870원에서 노동계는 50원을 내리고, 경영계는 30원을 올렸다. 노동계 2차 수정안은 올해 최저임금인 시간당 9860원 대비 13.1% 올린 것이고, 경영계는 0.4% 올린 것이다.

최초 요구안은 노동계 1만2600원, 경영계는 동결이었다. 이날 노사 위원들과 공익위원들은 지난 회의 때 낸 1차 수정안을 가지고 토론을 이어가다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자 정회 끝에 이처럼 한발씩 물러난 안을 가져왔다.

그러나 노사 격차가 아직 1250원에 달해 합의점을 찾기까지는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노사는 이날 밤늦게까지 논의를 이어가며 간격 좁히기에 나선다. 이날 결론을 내기는 쉽지는 않아 내년도 최저임금은 내주쯤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2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4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5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6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7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8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9‘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실시간 뉴스

1“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2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4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5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