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한국재료연구원과 '맞손'…원전 수출 확대 경쟁력 강화
SMR 건설 소재·용접 기술 개발…글로벌 기술·품질 표준 정립도 추진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현대건설이 국내 최고 소재 분야 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과 함께 원전 수출 확대를 위한 기술 개발과 국제 기준의 기술 표준 정립을 추진한다. 현대건설은 지난 23일 경상남도 창원에서 KIMS와 ‘대형 원전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해외 진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SMR 건설 소재 및 용접 기술 개발과 안정화된 공급체계 구축 등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공동연구 및 지식재산권(IP) 기술 이전, 인력지원 및 상호협의체 운영, 기술 교류 및 교육 등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유럽에서 미국기계학회(ASME) 기반의 노형을 건설하는 데 필요한 사전 연구를 수행해 절차, 지침, 규제 등을 고려한 제작·시공 기준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 국내외 현지 공급업체의 품질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해 불가리아 대형 원전의 성공적 수주를 위한 기반을 견고히 다진다는 방침이다. ASME 인증은 해외 원자력 프로젝트 수주 및 시공에 꼭 필요한 국제 인증이다. 현대건설은 1982년 국내 건설사 중 처음으로 ASME 인증서를 취득했고 14차례 갱신하며 세계적 수준의 원전 시공·관리능력을 입증해왔다.
KIMS는 1993년 국내 최초 원자력 공인검사기관으로 승인됐다.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등 국내외 25개 원전의 공인검사를 수행한 국내 최고 소재 분야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다. 현재 SMR용 고강도 스테인리스강(XM-19), 다층금속소재 등 특수소재와 SMR 상용화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3D 프린팅 등 차세대 원전 혁신 제조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해 해외 원전 건설 기준에 부합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것”이라며 “원전 소재 관련 원천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통해 원자력 건설 분야 우위를 선점함으로써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선도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2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4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5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6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7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8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9‘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