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24 100대 CEO] 수십번 되뇌는 “시중은행 1위”…목표 향해 껑충

6위 조병규 우리은행 행장 

1965년생 / 관악고 / 경희대 경제학 / 2018년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상무) / 2020년 우리은행 준법감시인(집행부행장보) / 2020년 우리은행 경영기획그룹 집행부행장보 / 2020년 우리은행 경영기획그룹 집행부행장 / 2022년 우리은행 기업그룹 집행부행장 2023년 우리금융캐피탈 대표이사 / 2023년 7월 우리은행 행장 [사진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올해 시중은행 중 당기순이익 1등을 하겠다.”

조병규 우리은행 행장이 2024년 1월 열린 ‘경영전략회의’에서 밝힌 포부다. 조 행장은 ‘만년 4위’를 하던 우리은행을 1위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앞서 우리은행은 2004년 당기순이익 1등을 경험한 바 있지만, 이후 한 번도 1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20년이 지난 올해는 조 행장의 지휘 아래 당기순이익 1위 목표를 이루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조 행장은 순이익 1등 달성 목표에 한 발짝씩 다가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5대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의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3위다. 우리은행의 연결기준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1조6740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또한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성장률은 13.7%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했다.

조 행장은 순이익 1위 목표를 내건 지 반년이 훌쩍 지난 현재, 다시 한번 ‘당기순이익 1등’ 목표를 공언했다. 조 행장은 지난 7월 26일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에서 개최한 하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서 “하반기 영업 레이스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지난 1월 선언한 당기순이익 1등이라는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조 행장은 올해 하반기에도 끊임없이 달린다. 이를 위해 ▲기업금융명가 재건 ▲개인금융 경쟁력 제고 ▲글로벌사업 레벨업 등 하반기 세부추진계획을 세웠다. 불확실한 금융환경이 계속되겠지만 선택과 집중을 통해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겠다는 복안이다.

조 행장은 올해를 특히 중요한 시기로 보고, 그룹 시너지 극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도 강조했다. 조 행장은 “올해 증권사 및 보험사 인수를 시작으로 금융그룹 전체 포트폴리오가 완성되는 만큼 우리은행에도 더 큰 성장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2‘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3‘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

4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5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

6견고한 ‘악순환 고리’... ‘LCC 치킨 게임’의 부작용

7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8사고에도 ‘흔들림’ 없는 LCC...계속되는 ‘불안한’ 이륙

9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실시간 뉴스

1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2‘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3‘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

4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5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