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6월 경상수지 122억6000만 달러 흑자…반도체 수출 호조

경상수지 6년 9개월 만에 최대 흑자
상품수지 114억7000만 달러 흑자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하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우리나라의 경상수지가 6년 9개월 만에 최대 흑자 기록을 경신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9% 가까이 급증했지만, 수입은 소비재를 중심으로 5% 넘게 감소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상수지는 122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2017년 9월(123억4000만 달러) 이후 81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의 월간 경상수지 흑자다.

이는 6월 상품수지가 114억7000만 달러 흑자를 쓰면서 2020년 9월(120.2억 달러) 이후 3년 9개월 만에 최대 흑자를 경신한 덕분이다.

6월 상품수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출이 588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 통관 수출이 50.4% 뛰었고, 정보통신기기도 26.0% 급증했다. 지역별 수출 증가율은 동남아 27.9%, 미국 14.8% 등이었다.

반면 수입은 1년 전보다 5.7% 감소한 473억5000만 달러로, 원자재(-6.6%)와 자본재(-4.6%)는 물론 소비재(-15.6%)까지 감소세를 보였다.

원자재 수입의 경우 석유제품이 17.5%, 원유가 8.2% 늘어났으나 철강재에서 -18.9%, 화공품에서 -20.6% 줄어들었다. 소비재 수입은 가전제품 -3.7%, 직접 소비재 -6.8%, 곡물 20.3%, 승용차 -44.1% 등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서비스수지는 16억2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전월 12억9000만 달러 적자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됐다.

운송수지는 컨테이너 운임 상승 영향으로 5억 달러로 전월 대비 흑자전환 했지만, 여행수지는 여행 수입이 여행 지급보다 더 크게 줄면서 적자 폭이 전월 8억6000만 달러에서 9억 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본원소득수지는 분기 배당 지급 영향이 사라지면서 흑자 폭이 전월 17억6000만 달러에서 26억 9000만 달러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 경상수지는 377억3000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상반기 기준 2021년(407억7000만 달러)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2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3"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4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5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6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7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8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9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실시간 뉴스

1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2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3"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4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5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