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상반기 실적에 ‘한 지붕 두 표정’…기업계 카드사 ‘울적’하네
- 롯데카드 순이익 80% 급감…삼성카드만 증가
조달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가 원인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삼성카드·현대카드·롯데카드 등 기업계 카드사의 연결 기준 순이익은 총 5894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7545억원보다 작년보다 21.9% 줄어들었다. 신한카드·KB국민카드·하나카드·우리카드 등 은행계 카드사들이 같은 기간 6666억원에서 8353억원으로 25.3%나 순이익이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기업계 카드사들의 실적 악화는 롯데카드의 순이익 급감한 탓이 컸다. 롯데카드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628억원으로 전년 동기 3067억원 대비 79.5%나 줄어들었다. 현대카드의 경우 1638억원 순이익을 거둬 전년 수준(1572억원)을 방어했다.

카드사가 신용으로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장부상 비용으로 미리 처리한 금액인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 또한 전년보다 늘어났다. 현대카드는 270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2% 급증했으며, 롯데카드도 17.5% 증가했다.
여기에 롯데카드의 경우 베트남 자회사의 부진한 성적표도 실적 악화에 영향을 끼쳤다. 올해 상반기 롯데파이낸스베트남의 순손실은 128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125억원보다 확돼됐다. 다만 롯데파이낸스베트남은 지난 6월부터 월 실적이 흑자 전환했으며, 앞으로도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롯데카드의 설명이다.
삼성카드는 기업계 카드사 중 유일하게 순이익이 2906억원에서 3628억원으로 24.8% 증가했다. 현대·롯데카드와 다르게 금융비용이 4% 증가하는 데 그쳤고, 대손비용의 경우 오히려 14.9% 감소하면서 많은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었다.
다만, 기업계 카드사들이 양호한 연체율을 유지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올 상반기 말 기준 삼성·현대·롯데카드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은 각각 1.08%, 1.07%, 1.8%다. 카드사 평균 연체율이 1.6%대인 것과 비교하면 준수한 수치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들어 조달금리 상승으로 카드사들의 이자비용 증가가 불가피했지만, 2분기부터 상승 폭이 축소됐다”며 “4분기에는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카드사들의 실적 개선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실제 시장에선 오는 10·11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높게 점치고 있다. 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9월과 11월, 12월 중 최소 두 차례 이상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은 금통위도 10월과 11월에 금리를 두 차례 정도 인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8살 유괴 살해한 여고생, 공범은 검찰에 '쌍욕'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