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플라시클,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선정

[사진 :주식회사 플라시클]

플라시클이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선정되었다고 28일 밝혔다. 플라시클은 화학 관련 전공 박사학위를 보유한 조창범 대표와 장홍제 대표 등이 화학 기술을 응용해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고자 2023년 12월 설립한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특수한 촉매를 활용하여 화학적 재활용 방식 중 하나인 강염기 기반의 해중합 방식에서 중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세척 및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화학 분야 딥테크 스타트업이다.

현재 폐플라스틱 재활용이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제도가 시행되는 등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PET 외의 플라스틱은 기계적 재활용으로는 리사이클링이 어렵고, 해중합과 같은 화학적 재활용으로 진행되어야 순환 경제 실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라시클은 이 점에 주목해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촉매 기술을 고도화시켜 적은 양의 용매로 더욱 빠르게 플라스틱을 분해시키고, 폐기물을 최소화해 친환경성을 강화하고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또한 간단한 공정을 통해 (1) 유색 PET병에서 투명한 DMT 원료 생산, (2) PC에서도 투명한 BPA 원료 생산이 가능한 것도 플라시클이 개발한 기술의 특징이다. 플라시클은 이러한 연구개발 노력을 인정받아 이번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선정되었다.

이번 프로젝트 선정으로 플라시클은 제품 및 서비스의 고도화와 실증에 소요되는 사업화 자금을 최대 연 2억 원씩 3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연구개발, 보증, 수출 등의 연계 지원은 물론 기술사업화, 개방형 혁신, 투자 유치 등의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 

플라시클 조창범 대표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선정으로 촉매 기반 해중합 기술이 기술력과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며, “플라시클은 테크 기반으로 다음 세대를 위한 순환 경제를 선도하며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2024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한국전력공사가 주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6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7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8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9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실시간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