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제주·부산 신공항 건설 두고 몸살…찬반 논란에 단독 입찰까지

제주 제2공항 ‘주민 갈등’ 논란
가덕도 신공항은 ‘경쟁 업체’ 없어 4번째 유찰

제주 제2공항 조감도[사진 국토교통부]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제주와 경상남도가 신공항 건설을 두고 몸살을 앓고 있다. 제주는 최근 제2공항 건설 사업이 국가사업으로 확정되면서 주민들의 갈등 조정을 걱정하고, 경상남도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 단독 입찰이 반복되며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제주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6일 고시한다고 전날 밝혔다. 지난 2015년 11월 공항 건설 계획을 처음 공개한 지 8년 10개월 만이다.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한 2018년 12월 이후로는 5년 9개월 만이다. 제주2공항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551만㎡ 규모로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제주국제공항이 1968년 개항한 이후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늘어 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정부는 기존 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추가로 하나 더 짓는다는 계획을 세웠다. 제2공항 활주로는 길이 3200m, 폭 45m 1본으로, 글로벌 항공사들이 운영하는 대형 기종의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계획됐다. 항공기 28대를 동시에 주기할 수 있는 31만1000㎡의 계류장과 11만8000㎡의 여객터미널 등도 계획에 포함됐다. 총사업비는 5조4500억원으로 추산됐다.

먼저 연간 1690만명의 여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항공 수요 증가세에 따라 연간 1992만명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2단계 확장을 검토한다는 게 국토부 방침이다. 국토부는 “제주2공항을 통해 제주 관광객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증가가 예상되는 국내·외 항공 수요를 수용할 수 있게 돼 제주 지역의 관광객 증가 및 경제 활성화 효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공항 건설에 제주 지역 주민들의 찬반 입장이 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기본계획 고시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거쳐 제주도의회의 동의 관문을 통과해야 하는데, 주민들의 의견이 충돌하면서 논란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지난 3월 JIBS 등 제주 지역 4개 언론사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제주 전역 주민 1522명의 의견을 물은 결과 제주2공항 찬성은 46.1%, 반대는 47.7%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주민 갈등을 고려해 조정을 노력하고 착공 시기 등 일정을 제주도의회와 충분히 협의한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가덕도 신공항 네 번째 입찰 무산…국토부, 수의계약 검토 하나


부산 가덕도 신공항은 ‘단독’ 입찰로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입찰이 무산됐다. 국토교통부는 5일 접수를 마감한 가덕도 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 재공고 결과 최소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유찰됐다고 같은 날 밝혔다. 두 곳 이상의 업체가 참가해야 경쟁할 수 있어 입찰이 조건을 충족하는데, 현대건설 주관 컨소시엄 1곳만 단독으로 응찰했기 때문이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 일대 666만 ㎡에 공항 시설과 항만 인프라 등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사업비는 10조5300억 원에 이른다.

대규모 사업임에도 4번이나 유찰된 것은 정해진 공사 기간(6년)이 비교적 짧기 때문이다. 산을 깎고 바다를 메워 부지를 조성하는 공사인데, 공사의 난도와 각종 변수를 고려할 때 기간 내 완공을 어렵게 보는 업체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1차 입찰에서는 아무도 응찰하지 않았고, 6월과 8월 2‧3차 입찰에서는 현대건설 컨소시엄 한 곳만 참여해 경쟁이 성사되지 않았다.

국토부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관련 법령과 유사 사례 등을 검토한 후 전문가 자문 및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이른 시일 내에 사업 추진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의 계약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국가계약법에 따르면 2번 이상 유찰되면 수의계약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쟁 업체가 나오지 않고 부지 조성 건설 입찰에서만 3개월가량 허비했는데, 시일이 늦춰지면 당초 목표로 했던 2029년 개항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일정이 촉박해 나서려는 건설사 없던 상황에서 여건이 개선되지도 않았는데 경쟁 입찰에 들어올 곳이 많지 않을 것”이라며 “공사를 원하는 업체를 중심으로 수의계약을 맺는 게 효율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

실시간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