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조현병 진단 의사 2000명, 수술도 했다는데…

정신질환 진단을 받은 의사가 연평균 6000여명에 이르고, 이들이 연평균 2000여만건의 진료와 수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로 제작한 의사의 뒷모습 이미지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정신질환 진단을 받은 의료인 현황'에 따르면  2019∼2023년 연평균 6228명의 의사가 정신질환을 진단받았다. 이들은 연평균 2799만건의 진료와 수술을 했다.

해당 기간 조현병과 망상장애 진단을 받은 의사는 연평균 54명이었고, 이들은 연평균 15만1694건의 진료와 수술을 했다. 조울증 진단을 받은 의사는 연평균 2243명이었고, 이들에 의해 연평균 909만5934건의 진료와 수술이 이뤄졌다. 올해 1∼7월 진료과목별 현황을 보면 조현병과 망상장애 진단을 받은 의사가 845건의 정신과 진료를 하기도 했다.

정신질환이 있으면서 환자를 본 간호사도 있었다.

정신질환 진단을 받은 간호사는 2019∼2023년 연평균 1만74명이었다. 조현병과 조울증 진단을 받은 간호사는 각각 연평균 173명과 4120명이었다. 마약중독 진단을 받은 의사는 5명, 간호사는 7명이었다.

현행 의료법상 정신질환자 및 마약 중독자는 의료인이 될 수 없다. 하지만 이를 걸러낼 자격 검증 시스템이 없다. 

복지부에 따르면 2007년 의료법 전부개정 이후 정신질환 등으로 의료인 자격이 취소된 사례는 2017년 조현병 진단을 받은 간호사의 면허가 취소된 단 1건뿐이다.

추 의원은 "현행 의료법상 정신질환자와 마약 중독자는 의료인이 될 수 없도록 규정돼 있으나 자격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법적 절차가 마련되지 않아 사실상 방치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

실시간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