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임영웅 티켓 80만원”…‘피켓팅’ 원흉 매크로 암표상 덜미

배우 변우석 팬미팅 입장권 등 되팔이
공연법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

지난 8월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 전광판에 가수 임영웅의 서울월드컵경기장 콘서트 실황을 담은 영화 '임영웅 | 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예고편이 상영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명 가수들의 공연 입장권 등을 대거 매입한 뒤 되팔아 수익을 낸 암표상들이 경찰에 적발됐다.

서울경찰청 범죄예방질서과는 공연법 위반 혐의로 20∼30대 남녀 암표 판매 사범 7명을 검거했다고 1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유명 가수 콘서트와 뮤지컬 티켓 등을 매크로(한 번의 입력으로 특정 작업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작된 프로그램)를 이용해 구매 대행하거나 티켓을 중고 시장에 되팔아 수익을 낸 혐의를 받는다.

이들이 판매한 티켓은 가수 나훈아, 임영웅, 버추얼(가상) 걸그룹 이세계아이돌 ‘릴파’ 등의 콘서트와 뮤지컬 ‘드라큘라’, ‘그레이트 코맷’ 등으로 다양했다.

가장 비싸게 팔린 암표는 지난 7월 열린 배우 변우석의 팬미팅 입장권으로, 정가 7만7000원 상당의 이 입장권은 235만원에 거래됐다. 정가 17만7000원인 임영웅 콘서트 티켓도 1장에 최대 80만원까지 팔렸다.

검거된 피의자 중 20대 무직 여성 A씨는 블로그와 X(옛 트위터)를 통해 티켓 구매를 의뢰받은 뒤 구매자의 아이디·비밀번호를 이용해 매크로로 뮤지컬 티켓 등 331장을 구매해 1억원을 챙겼다. 그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판매한 것으로도 파악됐다.

다른 20대 남성 B씨는 매크로로 확보한 임영웅 콘서트 티켓 등 15장을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팔아 1천338만원의 수익을 냈다. 또 다른 20대 군인 남성도 같은 방식으로 543만원을 벌었다.

일반인은 수만에서 수십만 번대 순번 대기 후 남는 좌석을 예매해야 해 대부분 티켓 구매에 실패한다. 피가 튀길 정도로 치열한 티켓팅에 ‘피켓팅’이라는 말까지 생겨날 정도다. 하지만 이들은 매크로를 이용해 1∼2분 안에 접속해 다수의 티켓을 확보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경찰은 단속·수사만으로는 암표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는 만큼 주요 공연·스포츠장 관리 기관, 티켓 예매처, 스포츠계, 연예기획사 등과 합동 대응 협의체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3월 개정된 공연법은 매크로를 이용해 입장권을 부정 판매할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한다. 경찰은 검거된 피의자들에게 공연법 외에도 범죄 수법에 따라 형법상 업무방해 및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 적용도 적극 검토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2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3“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

4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2024 임팩트 리포트’ 발간

5 尹, '10차 탄핵심판' 헌재 출석한 뒤 5분여 만에 퇴정

6“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7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8DL이앤씨, 대구와 천안에서 마수걸이 분양 나서

9“내가 명절에 못 간 이유”...설연휴 SRT 예매 매크로 사용자 수사의뢰

실시간 뉴스

1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2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3“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

4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2024 임팩트 리포트’ 발간

5 尹, '10차 탄핵심판' 헌재 출석한 뒤 5분여 만에 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