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O가 되려면…”기술을 제품·서비스에 접목하는 ‘응용력’ 중요”
[CTO 33인의 大전망]②
‘인력 관리 문제’ 솔루션 제시해야 CTO 될 수 있어
CTO 최고 권한은 ‘프로젝트 결정권’
이제 세상의 변화를 이끄는 이들은 엔지니어다.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혁신도 변화도 어려운 시대다. 이런 엔지니어들이 꿈꾸는 최고의 자리는 ‘최고기술책임자’로 불리는 CTO일 것이다. 최고경영자만큼 혹은 창업가만큼 스포트라이트를 받지는 않지만,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는 철학으로 그들은 뒤에서 묵묵히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낸다.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궁금했다. CTO들을 전면에 내세운 이유다. AI 시대를 이끌어낸 이들이 예언하는 다음 세상은 무엇일까. 숨어있던 33명의 CTO가 직접 답했다. 9월 한달 동안 대기업부터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CTO들에게 20개가 넘는 항목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CTO는 기술자로서 기업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자리에 오른 인물들이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일을 겪었을 터다.
‘CTO가 되기까지 가장 힘들었던 일’을 묻는 문항에 응답자 22명이 채용 난항·인재 유출 등 ‘인력 관리 문제’를 꼽았다. 또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18명)과 ‘직원과의 소통’(12명), 그리고 ‘팀 내 불화 혹은 다른 부서와의 갈등’(8명)에서 어려움을 느낀 이도 적지 않았다. 반면 ‘사내 정치’와 ‘성과 우선주의’를 답변으로 적어낸 이는 각각 3명뿐이었다.
CTO 자리에 오를 수 있던 배경으로 응답자들은 기술을 제품·서비스에 접목하는 ‘응용력’(26명)이 중요했다고 봤다. 기획력(22명)·사회성(20명)·민감성(18명)·전문성(16명)·창의성(14명) 등도 CTO가 지녀야 할 중요한 덕목으로 꼽았다. 반면 어학 능력(4명)과 홍보·마케팅 능력(3명)이 중요하다고 본 이는 적었다. 기술을 사업적 관점에서 접근한 점이 CTO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 셈이다. 부하 직원에겐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는 능력을 요구하진 않는다’라고 답한 이가 많았던 점과 사뭇 대조된다.
기술 개발의 핵심 키워드…인재·자본·시스템
CTO로 승진하면서 얻은 가장 큰 장점으론 ‘프로젝트 결정권’(28명)이 주어진다는 점을 꼽았다. 사내 정보를 빠르게 얻고(11명) 인재 채용에 참여할 수 있는 점(8명)도 매력 포인트라고 봤다. 반면 CTO 업무의 어려운 점으론 ‘인재 채용·관리’(21명)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내·외부 소통(13명)과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일(13명)에도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달라진 연봉·처우의 경우 장점(3명)이나 단점(1명)으로 작용하는 건 아닌 것으로 조사됐다.
CTO가 기업 임원으로 관리 업무도 수행하지만, 이들의 본연 역할은 단연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 등을 꾸리는 데 있다. 설문에 참여한 33인의 CTO들은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을 묻는 문항에 인재(28명)·자본(17명)·시스템(15명)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대외 협력을 꼽은 이는 2명에 그쳤다. “회사 차원의 지지가 중요하다”고 답한 이도 있었다.
CTO란 직책을 둔 기업은 개발자·연구원 등이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을 꾸리는 업종에서 활약하는 곳이 많다. 33인 답변에서도 알 수 있듯 ‘비즈니스적 접근’이 기업의 기술을 책임지는 CTO의 능력으로 꼽히는 이유다. 기술의 사업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 인재가,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인재 유치·23명)에서도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자본 역시 많이 투입되는데, 투자가 위축된 시장 분위기(17명)가 사업화 과정에서 걸림돌이 된다는 시각도 이번 조사에서 관측됐다.
장동현 맘편한세상 개발리드는 ‘사업화 과정에 겪는 어려움’을 묻는 말에 “기획 세울 땐 간단하게 구현이 되리라고 봤지만, 실제론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마주해 일정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게 사업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곤 한다”고 답했다. AI 기술 스타트업에 소속된 한 CTO는 “글로벌 기업이 연구 분야에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면서 경쟁이 심화하는 추세가 기술을 도입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기술 사업화, 인재가 핵심…정부 지원 절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시급하게 이뤄져야 할 변화로는 세제 지원·샌드박스 등 정부의 지원 확대와 규제 완화(22명)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빠르게 성과를 내야 하는 사내 기조가 없어져야 한다(11명)는 의견도 많았다. 의학 분야에 이공계 인재가 쏠리고 있다는 점(9명)도 해결이 필요한 지점으로 꼽혔다.
이 밖에도 “기술·사업을 모두 이해하는 융합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민간·정부의 연구 자원 지원 정책이 확대됐으면 좋겠다”,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전사 차원의 효율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실성 있는 교육 정책이 시급하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한 CTO는 “공무원이 생각하는 교육과 실제로 기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교육에는 상당한 온도 차이가 있다”며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 이들은 ‘있어 보이는 기술’에 대한 역량 강화를 강조하지만, 실제로 기술을 현장에서 도입하는 기업들은 ‘실용적 기술’을 더욱 필요로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증권업계 대부’ 강성진 전 한국증권업협회장 11일 별세...향년 98세
2블랙박스 ‘메이데이’ 선언 무렵부터 끊겼다…“전원 셧다운 가능성”
3신작으로 반등 노리는 위메이드
4지난해 국내 증시 불안 속 대형 증권사는 웃었다
5뉴욕 밀치기 범죄 공포…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최고’
6'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7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8"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9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