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제니·하니도 꽂혔다…올 연말 ‘이 바지’ 시대 계속된다 [민지의 쇼핑백]

스키니진 유행 돌아온다더니…와이드 팬츠 인기 여전
SPA 브랜드에서도 와이드 핏 청바지 수요 증가 추세
“편안하면서도 체형 보완 강점”

와이드 진을 입은 뉴진스 하니, 블랙핑크 제니. [사진 구찌, 제니 인스타그램]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지난해부터 스키니 팬츠의 귀환 소식으로 패션계가 떠들썩했지만 아직 와이드 팬츠의 시대가 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통이 좁고 다리 핏이 그대로 드러나는 스키니 팬츠는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이후에는 일명 ‘나팔바지’라고도 불리는 ‘부츠컷 팬츠’와 통이 넓은 ‘와이드 팬츠’가 유행을 이어오고 있다. 

프라다, 셀린느, 페라가모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의 2023년 봄·여름(SS) 런웨이에 스키니 팬츠가 등장했고, 미우미우의 2024년 가을·겨울(FW) 시즌 런웨이에도 스키니진이 올라와 화제가 됐으나 업계에서는 여전히 와이드 팬츠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반응이다. 
스파오에서 판매 중인 와이드 진. [사진 이랜드월드]

연 백만장 팔린 데님 살펴보니 역시 ‘와이드’

이랜드월드가 전개하는 SPA 브랜드 ‘스파오’에서는 데님 카테고리의 올 한 해 판매량 중 ‘와이드 핏’의 비중이 절반 이상이라고 밝혔다. 판매량 분석 결과 2010년부터 2017년까지는 슬림 핏이, 2018년부터는 테이퍼드 핏(발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핏)과 와이드 핏이 1위를 차지했다. 

젊은 층에서만 선호하던 와이드 진은 전 연령으로 확장되며 이제는 유행하는 아이템이 아닌 클래식 아이템이 됐다. 실제로 스파오의 매출 상위 매장 중 하나인 영등포 타임스퀘어점에서는 여성 고객의 10대부터 50대까지 전 연령대에서 와이드진이 1위를 기록했다. 남성 고객 또한 50대(테이퍼드)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와이드진을 제일 많이 찾았다.

스파오 데님은 지난해에만 연간 100만장 판매된 브랜드의 핵심 상품으로, 고객 수요가 꾸준히 높은 상품은 고정하고, 트렌드 상품은 스타일을 확장하거나 유연하게 생산하고 있다. 

이랜드 스파오 관계자는 “합리적인 가격뿐만 아니라, 같은 와이드진 카테고리라도 다른 SPA 브랜드에는 없는 ‘카펜터 진’(작업복 청바지)이나 ‘카고 진’(건빵바지)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아이템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인기 비결”이라고 전했다. 

이렇듯 스파오가 트렌드로 떠오른 상품을 바로 만들어낼 수 있는 비결은 ‘2일 5일 생산’에 있다. 2일 5일 생산은 이틀 만에 국내 생산기지에서 제품을 기획하고 200장 내외만 생산해 매장 입고를 마쳐 주말 동안 거점 매장에서 판매한 뒤, 소비자 반응이 좋으면 그때 생산량을 결정해서 생산하는 이랜드의 생산 방식이다. 해외 생산도 최대 5일이 넘지 않는다. 
와이드 진은 모바일 패션 플랫폼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 에이블리 캡처]

와이드 진은 모바일 패션 플랫폼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에이블리에서는 10월 8일 기준 데님 카테고리의 실시간 랭킹 50위 안에 드는 87%의 상품이 와이드 진이며, 지그재그의 실시간 데님팬츠 랭킹 30위권 상품들은 5개 상품을 제외하고 모두 와이드 진에 해당한다. 

마음 놓고 입는 ‘통 넓은 바지’, 유행 계속된다

업계에 따르면 올 가을·겨울(FW) 시즌에도 와이드 진 트렌드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와이드 진은 대중보다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하는 셀럽 패션에도 여전히 등장하고 있다.

뉴진스 하니는 지난 9월 열린 밀라노 패션위크에서 크롭 티와 함께 연청색의 와이드 진을 매치한 Y2K 패션을 선보였다.
와이드 진을 입은 뉴진스 하니, 블랙핑크 제니. [사진 구찌, 제니 인스타그램]

패션 아이콘으로 회자되는 셀럽 중 특히 와이드 팬츠를 자주 즐겨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블랙핑크 제니 또한 최근 업로드한 SNS 게시글을 통해 다시 한번 와이드 진의 시대가 건재함을 알렸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최근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가운데, 데님 수요 또한 늘어나면서 무더운 여름에는 입기 어려웠던 청바지의 계절이 돌아왔다”며 “청바지 또한 편안한 착용감과 체형 보완에 강점이 있는 와이드 핏의 인기가 여전하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다저스-샌디에이고 '끝장 승부' 5차전 승리의 여신은 누구 편?

2北, "韓 무인기 침투" 주장하며 풍선 20개 살포…10개 철원 낙하

3한동훈 “김 여사 우려 불식 위해 대통령실 인적 쇄신 필요”

4인구축소시대, 기업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5 中 "정부 부채 대폭 확대…특별국채 발행할 것"

6월소득 100만원 못버는 자영업자 보니...절반은 ‘부업형 프리랜서·라이더’

7와인이 소비자 식탁에 오르기까지

8“한강 역사왜곡...中 작가 줬어야” 국내 현직 작가 막말 ‘논란’

9이재용·정의선 등 재계 총수들, 최태원 차녀 결혼식에 총출동한다

실시간 뉴스

1다저스-샌디에이고 '끝장 승부' 5차전 승리의 여신은 누구 편?

2北, "韓 무인기 침투" 주장하며 풍선 20개 살포…10개 철원 낙하

3한동훈 “김 여사 우려 불식 위해 대통령실 인적 쇄신 필요”

4인구축소시대, 기업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5 中 "정부 부채 대폭 확대…특별국채 발행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