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서울 아파트값 30주 연속 상승…“일부 재건축 및 신축 단지 신고가 거래 영향”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대출 규제 등의 여파로 서울 아파트 시장의 매수세가 주춤해진 가운데 일부 재건축 단지와 신축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나오면서 매매가격 상승 폭이 다소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이 17일 발표한 '10월 둘째 주(14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1% 오르며 30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가격 급등에 대한 피로감과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와 신축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발생하면서 상승 폭이 소폭 확대됐다고 부동산원은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내년 재건축 조합 설립을 앞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삼부아파트는 지난 1일 전용면적 175㎡가 43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기존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고, 같은 동 시범아파트는 지난 7일 전용 156㎡가 35억2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다. 강남구의 대표적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지난 4일 전용면적 84㎡가 29억4800만원에 팔리면서 신고가를 찍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을 구별로 보면 강남구가 개포·압구정동의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0.27% 오르며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용산구(0.19%), 서초구(0.18%), 마포구(0.18%), 성동구(0.16%), 광진구(0.15%)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0.02%→0.06%)과 경기(0.04%→0.06%) 역시 상승 폭이 전주에 비해 다소 커지면서 수도권 전체 상승률은 지난주 0.06%에서 이번 주 0.07%로 높아졌다.
경기 지역에서는 성남 수정구(0.20%)와 중원구(0.18%), 하남(0.17%) 등의 상승 폭이 컸던 반면 광주(-0.15%), 고양 일산서구(-0.09%)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 아파트값은 0.03% 내리며 지난주(-0.02%)에 비해 하락 폭을 키웠다. 대구(-0.11%), 부산(-0.07%), 제주(-0.04%), 경북(-0.03%), 광주(-0.03%)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반면 전북(0.05%)은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고, 울산(0.00%), 충남(0.00%) 등은 보합을 나타냈다.
전세시장에서는 수도권의 상승 폭이 다소 커지고, 보합과 하락을 거듭했던 지방이 상승 전환했다. 이번 주 전국 기준 전셋값은 0.05% 오른 가운데 경기(0.08%→0.11%)와 인천(0.20%→0.26%)의 상승 폭이 커지면서 수도권 상승 폭이 0.10%에서 0.12%로 확대됐다.
전셋값이 74주째 상승한 서울의 경우 0.10%의 상승 폭을 유지했다.
부동산원은 “선호 단지의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나, 일부 단지에서 상승 피로감으로 하락 거래가 발생하는 등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할로자임, ‘디렉터 리뷰’ 요청…머크 ‘암젠-사노피’ 사례 꺼낸 이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혼외자 논란' 정우성, 8개월 만의 근황 공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442㎜` 물폭탄 쏟아진 광주…남부에 최대 300㎜ 더 온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열심히 달린 회사채 시장…여름 휴가철 쉬어간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특허 등록도 안 됐는데 계약 체결?...인투셀·에이비엘바이오의 민낯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