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꽁꽁 닫힌 지갑’…소매 판매, 10분기 연속 감소 ‘역대 최장’
- 소매판매액지수 3분기 전년比 1.9%↓
서비스생산도 3년 반 만에 최저 증가율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100.7(불변·2020년=100)로 작년 같은 분기보다 1.9% 감소했다.
2022년 2분기(-0.2%)부터 꺾이기 시작해 10개 분기째 줄었다. 이는 199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긴 기간 감소 흐름이다.
소비 감소세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비내구재에서 고루 나타났다. 1년 이상 쓸 수 있고 주로 고가 상품인 내구재 판매액지수는 2022년 1분기(-2.4%)부터 올해 3분기(-0.4%)까지 작년 2분기(0.5%)를 제외하고 매 분기 줄었다.
특히 승용차는 올해 들어 1분기(-8.4%)와 2분기(-13.2%)에 큰 폭 감소했고, 3분기(-1.4%)에도 반등하지 못했다. 지난해 수요가 크게 늘었던 전기차가 올해 화재사고로 판매가 위축된 영향 등이다.
가전제품도 2022년 2분기(-4.5%)부터 올해 3분기(-3.3%)까지 10개 분기째 내림세다. 코로나19 시기에 가전제품 수요가 크게 늘었다가 아직 제품 교체 주기를 맞지 않아 판매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액지수는 작년 동기보다 4.7%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1.7%)부터 6개 분기째 마이너스다. 옷 가격 상승과 기후변화로 인한 봄·가을 옷 수요 감소로 의복 판매액지수가 올해 1∼3분기 4%대 감소세를 보였다.
비내구재는 음식료품 등 소비가 부진해 2022년 3분기(-1.4%)부터 9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이는 역대 최장기간 감소세다. 엔데믹 이후 여행과 외식 수요 등이 늘어 증가세를 보이던 서비스 소비도 다시 주춤하는 모습이다.
지난 3분기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6.2(불변·2020년=100)로 작년 동기보다 1.0% 증가했다. 이는 2021년 1분기(0.7%) 이후 14개 분기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특히 내수와 밀접한 업종에서 부진했다. 도소매업 생산은 작년 2분기(-1.1%)를 시작으로 올해 3분기(-2.1%)까지 6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이는 2003년 2분기(-2.3%)부터 2005년 1분기(-0.8%)까지의 마이너스 이후 가장 긴 감소세다.
숙박·음식업 역시 작년 2분기(-2.0%)부터 올해 3분기(-1.9%)까지 6개 분기째 줄었다.
2016년 4분기(-1.4%)부터 2018년 3분기(-2.7%)까지 감소세 이후 6년 만에 최장기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상임 “SKT 위약금 면제, 6월말 조사결과 발표 후 판단"(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김수현 측, 故 김새론 유족·가세연 추가 고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마카오 보내준다고?”…'경품성지' 입소문에 핫해진 코엑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