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극복 '기대'…내년부터 미혼남녀도 '가임력 검사' 가능
서울시, 최대 13만 원 지원
서울 거주 25∼49세 남녀 대상

4일 서울시는 내년부터 서울 거주 25~49세 남녀에게 결혼 여부를 따지지 않고 가임력 검사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기혼자와 사실혼 부부, 예비부부 등만이 대상이었던 정책을 임신 가능 연령대의 시민으로 확대한 것이다.
결혼을 하지 않았거나 당장 임신 계획이 없더라도 임신과 출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건강 위험 요인을 미리 발견하고, 건강한 임신·출산 환경을 조성하는 게 저출생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여성은 난소기능검사(AMH)와 초음파 검사가 지원 대상이며 최대 13만 원까지 가능하다. 남성은 정액검사를 최대 5만 원까지 지원한다. 이를 위해 시는 내년도 예산 35억2000만 원을 편성했다.
AMH와 정액검사에 통상적으로 드는 비용을 고려할 때 사실상 검사비 전액 지원이라는 게 서울시 측 설명이다.
보건소 홈페이지나 직접 방문을 통해 검사 의뢰서를 발급받은 뒤, 난임 전문병원이나 산부인과, 비뇨기과에서 검사받으면 된다. 검사비는 신청을 통해 추후 입금받게 된다.
가임력 검사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이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10월 17일부터 28일까지 국민 3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가임력 검사가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되면 받을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51.65%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남녀 모두 임신 전 건강을 관리할 필요성이 커졌지만, 한국은 임신 전 준비 과정에 대한 지원이 미미한 편"이라며 "임신 준비 지원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그 대상을 미혼자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