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트, 연금저축 투자일임 가입금액 로보어드바이저(RA) 전체 1위
RA 업계 최초로 470억원 넘기며 개인연금 일임 기준 적립금 1위 기록
일반 개인연금저축 운용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 핀트 하나로 해결 가능

핀트가 연계 증권사인 KB증권·한국투자증권과 함께 선보인 ‘연금저축 핀트 투자’는 국내 최초의 비대면 투자일임 연금저축 서비스로 핀트 앱 내에서 기존 연금저축을 가져오거나 신규 개설을 통해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금저축의 본래 목적은 노후준비지만 대부분 세제혜택 목적으로 가입 후 운용의 어려움과 무관심 속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연금저축 핀트 투자’는 개인연금의 일임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금저축 핀트 투자는 AI가 알아서 장기적 투자 전략부터 종목분석, 리밸런싱 등 어렵고 복잡한 연금 운용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편리한 것은 물론,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수익률까지 기대해 볼 수 있다.
실제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2024년 3분기까지 연금저축펀드(원금보장형, 단기금융 상품 제외)의 누적 환산 수익률은 최근 3년(-8.6%), 5년(14.2%), 7년(12.5%)인 반면, 연금저축 핀트 투자에 적용된 대표 알고리즘인 ‘디셈버 ISAAC 자산배분 국내형’의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누적 수익률은 3년(10.9%), 5년(28.8%), 7년(34.2%)을 기록 중이다.
동기간 연금저축펀드들의 기간별 누적수익률 평균과 비교 시 연금저축 핀트 투자가 3년(19.5%), 5년(14.6%), 7년(21.7%)의 기간별 수익률 차이에서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 안정적인 장기 운용에 특화된 자산배분형 핀트 알고리즘의 누적 수익률이 연금저축펀드 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로 주목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연금저축 고객들의 머니무브가 핀트로 집중되는 모습이다. 올해 초 300억원이었던 연금저축 핀트 투자일임금액은 9개월만에 50% 이상 급증해 11월 현재 470억원을 넘어섰다. 꾸준한 신규 유입과 함께 기존 가입자들도 빠르게 핀트로 갈아타기에 나서며 이전계좌의 비중도 전체 연금계좌의 30%에 이른다. 기존에 가입한 연금저축이 있다면, 핀트의 AI 전략을 접목시키는 것만으로도 개인연금의 운용과 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편의성과 효익을 체감할 수 있다는 평가다.
송인성 디셈버앤컴퍼니 대표는 “청년층부터 중장년층까지 노후준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편리하고 효과적인 핀트 연금저축 투자가 각광받고 있다”며 “연금저축과 같은 장기투자에서 AI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유용한 만큼, 핀트로 미래를 준비해 보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