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이 필요한 해외인재, 직접 유치한다" 내년부터 광역형 비자 도입
광역형 비자, 지역특성 고려한 맞춤형 비자 설계
경북도, 지역 맞춤형 해외인력 선발해 기업과 매칭

발제를 맡은 최문정 법무부 출입국·이민관리체계개선추진단 부단장은 광역형 비자의 도입 취지와 향후 추진 절차, 기대효과 등에 대해 설명했다.
광역형 비자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비자를 지역에서 설계하도록 하고, 우수 인재를 지역에서 추천하면 법무부에서 비자를 발급하는 제도이다. 2025~2026년 시범사업을 거쳐 향후 평가를 통하여 확대해 갈 예정이며, 시범사업 기간에는 유학생(D-2) 및 특정활동(E-7) 체류자격에 우선 적용될 예정이다.
경북도는 연내 광역비자 시범모델 설계를 목표로, 지역 주력산업(제조업)에 대해 비자 요건 등을 조사 중이다. 내년에는 해외인재유치센터를 개소하고, 지역 맞춤형 인력을 선발해 기업과 매칭할 예정이다. 향후 광역형 비자 본사업이 시작되면, 도입 업종을 농업과 돌봄 등으로 확대하고, 도입국가도 점차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경북은 민선 8기 시작과 함께 전국 최초로 광역비자를 제안하며 이민정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경상북도가 광역 비자의 표준 모델을 만들어 혁신적인 이민제도가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철 기자 thor010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2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3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4'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5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6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7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8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9"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