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발생할까…탄핵 표결 앞두고 네이버·카카오 촉각
IT업체, 사태 대비해 상시 모니터링 강화
SK텔레콤·LG유플러스, 이동 기지국 배치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이번 탄핵 표결을 앞두고 비상 상황에 대비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 등을 가동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네이버는 카페 접속과 댓글 달기 등 일부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 만큼, 시스템 안정화를 통해 혹시 모를 접속량 증가에 대응할 방침이다.
다만 이번 탄핵 표결로 인한 접속량이 비상계엄 선포 사태 직후 급증한 접속량보다 적을 것으로 이들 기업은 유추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업무 연속성 계획을 철저히 구축해 갑작스러운 접속량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했다.
네이버 외 다른 기업들도 탄핵 표결을 앞두고 대비에 나선 모습이다. 카카오는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다면 신속한 대응 및 유사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안정성을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통신 업계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재난 상황 수준의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통신망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탄핵이 급물살을 타면 통신량이 대폭 증가할 수 있어서다.
먼저 KT는 과천관제센터의 중앙상황실을 가동해 전체적인 통신 상황 감시·관리에 나섰다. 6개 광역시 중심에서도 상황실을 운영하기 시작했고 비상 대기도 실시한다. 광화문, 용산, 여의도 등 주요 시설에 대한 통신망을 점검하고 이동 기지국도 개통했다. KT 관계자는 “통신 서버 접속량을 모니터링하고 특이사항이 발생하면 즉각 조치해 기간통신사업자로서 책임을 수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이동 기지국을 배치하고 용량을 증설했다. 통신 당국은 이용자들이 불편 없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기본 방침을 준수하기 위해 접속량이 폭주한 상황이 발생하면 통신 및 플랫폼 기업과 연락 체계를 긴밀히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도 전날 간부회의에서 통신 장애와 사이버 해킹 등에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2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3DL이앤씨, 대구와 천안에서 마수걸이 분양 나서
4“내가 명절에 못 간 이유”...설연휴 SRT 예매 매크로 사용자 수사의뢰
5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6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7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8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9“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