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유가, 내년 경기 둔화 전망에 하락…WTI, 0.95%↓
69.91달러 거래 마감

1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67달러(0.95%) 하락한 배럴당 69.9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2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1달러(0.69%) 밀린 배럴당 72.88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25bp 인하했지만, 내년 금리인하 속도가 둔화할 것이라고 강력하게 시사한 여파로 유가가 하락 압력을 받았다.
통상 원유 시장은 기준금리가 하락하면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 늘어 원유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하 속도를 늦추겠다는 것은 그만큼 원유 수요가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
연준의 속도 조절로 미국 달러인덱스가 108선을 뚫고 올라가면서 달러화 가치가 급등한 점도 유가에 악영향이다. 원유 결제 통화인 달러화 가치가 비싸지면 이종통화 국가들은 원유를 매입하는 데 그만큼 더 비싼 값을 치러야 하고 이는 수요 약화로 연결될 수 있다.
상품중개사 스톤엑스의 알렉스 호데스 분석가는 "당초 예상보다 2025년 연준의 통화정책이 덜 완화하게 되면서 시장이 기대치를 조정 중"이라고 분석했다.
내년 글로벌 경기가 약해지면 원유 수요는 더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수요도 계속 약할 것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중국 국영 에너지기업 시노펙은 중국의 연료 수요가 약해짐에 따라 2027년 석유 소비가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이날 전망했다.
JP모건은 내년 석유 시장이 공급 초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급이 수요를 하루에 120만 배럴이나 앞지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2"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3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4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5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6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7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8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9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