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뉴욕증시, 美 연준 충격에 반등 실패…보합권 마감

나스닥 0.10%↓, 다우 0.04%↑, S&P500 0.09%↓

뉴욕증권거래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 CNBC 등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37p(0.04%) 오른 4만2342.24에 장을 마쳤다.

전날 10일 연속 하락 마감한 다우존스는 1974년 이후 최장 연패를 가까스로 끊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보다 5.08p(0.09%) 하락한 5867.08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19.92p(0.10%) 빠진 1만9372.77에 마감했다.

장 초반 다우지수는 460p 이상, S&P500지수는 1% 이상 오르는 등 반등세를 보였지만, 이후 상승폭이 줄어들어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S&P500 11개 업종 중 7개가 하락세로 마감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도 이틀째 상승해 4.5%를 돌파했다.

뉴욕증시는 전날 연준이 2025년 금리 인하를 기존 4번에서 2번으로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면서 급락했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4.3%는 상당히 제한적인 수준이며, 강력한 노동시장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잘 조정된 금리라고 생각한다"며 "(연준이) 정책금리 조정을 더 고려하며 더 신중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후 다우지수는 2.58% 하락, 지난해 3월 이후 최악의 주간 실적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는 2.95%, 나스닥 지수는 3.56% 떨어졌다.

월가의 이른바 '공포지수'는 28.27까지 치솟았다.

폴 믹스 하베스트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 공동 최고투자책임자는 CNBC에 "이번 조정은 조금 지속될 수 있다"며 "엔비디아라는 상징적인 이름이 무너지는 걸 본 만큼 현금성 자산을 어느 정도 비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2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3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4“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5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6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7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8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9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실시간 뉴스

1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2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3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4“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5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