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혼다·닛산, 합병 협의 공식화...“2026년 지주사 출범”

합병시 글로벌 완성차 3위 업체 우뚝
협상, 내년 6월 최종 합의 목표

우치다 마코토 닛산자동차 사장(왼쪽)과 미베 도시히로 혼다자동차 사장. [사진 도쿄 EPA/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일본 내 2위와 3위의 자동차 제조사인 혼다와 닛산자동차가 합병 추진을 공식화했다. 이들의 통합이 성사될 경우 현대차그룹을 넘어 글로벌 완성차 3위 업체로 도약하게 된다.

혼다와 닛산은 23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경영 통합을 위한 본격적인 협상 개시를 결정했다. 양사는 2026년 8월 상장회사로서 새로 설립할 지주회사 산하에 들어가는 형태로 경영 통합을 추진하기로 했다.

양사는 지주사의 자회사가 되며 각각 상장도 폐지할 계획이다. 협상은 내년 6월 최종 합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신설될 지주사의 대표는 혼다 측이 지명하는 이사 중에서 선임된다.

양사는 합병을 통해 연구개발 기능 통합, 생산거점 합리화, 비용 효율화를 가속화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차(EV) 등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노릴 계획이다. 

혼다와 닛산의 통합이 성사될 경우, 한국 현대차그룹을 제치고 글로벌 완성차 3위 그룹이 된다. 작년 기준 혼다는 세계에서 완성차 398만대를 판매해 세계 7위에 이름을 올렸다. 닛산은 337만대를 팔아 세계 8위였다. 두 업체를 단순 합산할 경우 규모는 735만대에 달한다.

이는 1위 도요타(1123만대)와 2위 독일 폭스바겐(923만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다만, 3위인 현대차그룹(730만대)을 뛰어넘어 세계 3위 자동차 그룹으로 올라설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미쓰비시자동차는 내년 1월 합류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미쓰비시자동차는 닛산이 최대주주인 자동차 업체다.

혼다와 닛산의 합병에 대해 업계는 세계 시장에서의 판매 급감과 함께 미국 테슬라 및 중국 비야디(BYD)와의 경쟁에서 밀리는 등 늦어지는 전기차 전환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2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3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4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5세계는 ‘딥시크’ 충격, 개발 비용 두고 설왕설래…557만달러 vs 5억달러

616주 동안 올랐던 기름값…이번 주 떨어지나

7中 ‘트럼프 관세’에 맞대응…”펜타닐은 미국의 문제”

8 中, 트럼프 관세에 "WTO 제소…상응 조치 취할 것"

9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미국산에 25% 부과

실시간 뉴스

1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2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3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4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5세계는 ‘딥시크’ 충격, 개발 비용 두고 설왕설래…557만달러 vs 5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