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김제·부안, '새만금 특별지자체' 설치 본격화
'새만금 권역 공동발전 전략 연구' 용역 마무리
3개 시군 협력체계 구축 및 개발
6개 분야 47개 협력, 지역 경쟁력 강화 실현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 6월부터 추진한 ‘새만금 권역 공동발전 전략 연구’ 용역을 마무리하고 새만금 특별지자체 설치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전북자치도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수행한 ‘새만금 권역 공동발전 전략 연구’ 결과를 전북 군산·김제·부안 3개 시군과 공유해 새만금 특별지자체 설치 논의를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지역 주민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역별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추진 동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새만금 특별지자체는 군산·김제·부안 3개 시군이 힘을 모아 새만금의 속도감 있는 개발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실현하기 위한 견고한 협력체계라고 전북특별자치도 측은 설명했다. 새만금 국가예산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행정 관리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안정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새만금 개발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것이다.
기존 지자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별도의 의회를 구성하고 단체장도 3개 시군이 순차적으로 맡는 방식을 채택해 지역 간 소통과 협치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새만금 권역 공동협력 당위성과 공동발전 비전 ▲새만금 특별지자체 설치의 필요성 ▲새만금 특별지자체 단계별 조직체계 ▲새만금 권역 공동발전을 위한 6개 분야 47개 공동협력 사무 ▲새만금 특별지자체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규약안 등이 제시됐다.
새만금 특별지자체 조직은 공동 협력사무의 수행 시기를 바탕으로 단계적으로 조직을 구축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됐다. 공동협력 사무는 기획·행정 7개, 관광·체육 12개, 산업·경제 8개, 건설·교통 10개, 환경·안전 7개, 농업 3개 등 6개 분야 47개 과제로 구성된다.
협력과제를 통해 지역 간 경계를 넘는 광역 인프라 구축에 대응하고 관광·산업기반 등을 공동으로 활용해 새만금 권역의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생활 기반 협력체계를 마련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김종필 전북자치도 자치행정국장은 “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3개 시군에 새만금 특별지자체 설치 준비를 위해 지역별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시군 주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이끌어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6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7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8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9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