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원들 "원달러 1500원 가능성 배제 어려워"
정치적 불안정성에 트럼프 노믹스 우려

29일 한국개발연구원(KDI)가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3~4%의 환율 변동은 통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의 1500원 도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KDI는 최근 환율이 우리 경제의 부정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통상 환율 상승은 수출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그 영향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달러 강세 등 대외 요인에 의해 주로 움직이던 원달러 환율이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기존 달러화 흐름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KIEP는 "대외신인도 관리 강화, 외환 수급 안정, 금융안전망 강화 등 다각적인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며 "통화정책보다는 금융정책·외환시장 개입 등을 통해 우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율 대응과 관련해 KDI는 "우리나라는 자율변동 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만큼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환율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투입할 경우 오히려 외환시장에 혼란과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2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3“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4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5간암 신약 '삼수' 도전하는 HLB...진양곤 회장 "반드시 허가받겠다"
6삼성, 자체적으로 인증한 '중고 갤럭시' 판다...가격은?
7머스크 “한국, 3세대 지나면 인구 4% 수준…돌이킬 수 없어”
8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부동산 중개보수·이사비 40만원 지원한다
9프랑스 당국, 애플에 1억5000만유로 과징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