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 취소 6만여 건·애경 불매 운동까지…2,600억 손실 제주항공, 휘청이나
참사 발생 직후 항공권 취소 급증
수수료 면제·전액 환불 방침 밝혀
신뢰 회복·자금 유동성 문제 '숙제'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전남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제주항공의 항공권 예약 취소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제주항공에 심각한 재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고객들에게 판매한 항공권의 선수금 규모는 약 2,606억 원에 달하며, 이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중 가장 큰 규모이다. 2위인 티웨이항공의 1,843억 원보다 41.6%나 많은 수치로 파악된다. 항공사의 선수금 중 대부분은 고객이 항공권을 예약할 때 미리 결제한 금액으로, 이는 항공사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까지 계약부채로 인식된다.
그러나 항공권 사용 이후에는 매출로 전환되기 때문에, 선수금은 항공사가 유동성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번 참사 이후 항공권 환불이 잇따르면서, 제주항공은 막대한 선수금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현금유출이 가중될 위험에 처해 있다. 매출로 인식되지 않는 선수금이지만, 환불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보유 현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주항공에 따르면, 지난 12월 29일부터 30일 오후 1시까지 약 6만8,000여건의 항공권 취소가 발생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참사가 발생한 29일 오전 9시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항공은 사고 직후 전 노선 항공권 취소 수수료 면제와 전액 환불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통상적으로 항공권 환불에는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바우처로 대체해 현금유출을 줄이는 방식이 활용되지만, 이번에는 예외를 적용한 것이다.
항공권 환불 외에도 소비자들 사이에서 제주항공과 모기업 애경그룹에 대한 불매운동 움직임이 일면서 추가적인 취소와 환불 요청이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불매운동이 장기화되면 제주항공의 현금유동성은 물론 영업활동현금흐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제주항공은 현재 사고 수습에만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사고 이후 항공권 취소가 평소보다 많지만 신규 예약은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비자 신뢰 회복과 유동성 문제 해결이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에서 제주항공의 향후 재도약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2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3DL이앤씨, 대구와 천안에서 마수걸이 분양 나서
4“내가 명절에 못 간 이유”...설연휴 SRT 예매 매크로 사용자 수사의뢰
5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
6코리안리거, MLB 적응하려면 '이것'부터 바꿔야
7김송 “구강암 아닐 거라고”…건강 호전
8트럼프 리플 언급에 XRP 급등...4000원선 눈앞
9“집중 되겠냐”vs“개인 자유”.. 크롭티 입은 女강사에 갑론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