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무값 두배 올랐다…설 앞두고 물가 고공행진
정부, 이번주 물가관리 대책 발표 예정
주요 성수품 공급·할인 행사 역대 최대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배추와 무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1.5배이상 오른 가운데 정부가 이번주 물가관리 대책을 발표한다. 특히 설을 앞두고 주요 성수품 공급과 할인 행사를 역대 최대 수준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3일 기준 한 포기에 5027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58.9%, 33.9% 올랐다. 평년 가격은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무는 한 개에 3206원으로 1년 전보다 77.4% 비싸고 평년보다 52.7% 올랐다. 배추와 무 가격 상승은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여름철 폭염에다 추석 이후까지 늦더위가 이어지면서 농산물 생육이 부진했다. 겨울 무 주산지인 제주에 비가 자주 내린 것도 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도 오름세다. 배(신고)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4만1955원으로 1년 전보다 24.6% 비싸고 평년보다 23.5% 높다. 이는 공급량 감소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배 생산량은 전년보다 3% 감소했고, 수확 후 저장 단계에서 고온으로 피해가 발생해 유통 가능 물량은 생산량보다 더 줄었다. 사과(후지)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2만6257원으로 1년 전보다 10.2% 내렸지만, 평년과 비교하면 3.1% 높다.
양파와 감자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11.7%, 14.6% 내렸고 깐마늘 가격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설 성수품은 아니지만 겨울철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감귤은 10개에 4804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12.3%, 63.3% 올랐다.
감귤은 여름철 폭염으로 열과(갈라짐) 피해가 컸고,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줄었다. 딸기는 100g에 2천542원으로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10.4%, 25.4% 비싸다.
축산물 가격은 농산물보다 안정적이다. 지난 2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 기준 한우 1등급 등심 소매가격은 100g에 9512원으로 1년 전(9461원)과 비슷하다. 돼지고기 삼겹살 소매가격은 2649원으로 8.5% 올랐다. 닭고기 소매가격은 1㎏에 5천403원으로 5.9% 내렸고 계란(특란 30개)은 6301원으로 8.4% 하락했다.
정부는 설 성수기를 앞두고 이르면 이번 주 물가 관리 대책을 발표한다. 올해 설 성수기에는 사과와 한우 등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늘리고 할인 행사를 최대 규모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2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3“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4“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
5'지브리' 챗GPT에 日 애니 감독 ‘분노 폭발’…”지브리 더럽히지 마”
6KG그룹, 산불 피해복구와 소방관 지원 위해 성금 5억원 기부
7부동산에 쏠린 빚만 ‘연간 100조원’ 이상...11년 만에 2.3배로
8거래소, 6월부터 파생상품 야간거래 1시간 연장
9LIG넥스원, 美 방산 기업 안두릴과 미래전 무기체계 개발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