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GTX-A 운정중앙역~서울역' 개통에 관심은 '늘고' 거래는 '미미'

"교통호재는 오랜기간 걸쳐 프리미엄 반영"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연신내역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지난달 28일 개통되면서 인근 랜드마크 대단지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거래는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아파트 종합 정보 플랫폼 호갱노노를 통해 분석한 결과, 운정중앙역 인근 힐스테이트운정,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운정신도시아이파크 등 이른바 '힐푸아'의 호갱노노 방문자 수는 12월 넷째 주(23~29일) 기준 2만810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통 전인 12월 셋째 주 방문자 8302명과 비교해 3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아울러 개통일 이후 1월 8일까지 12일 동안 '힐·푸·아'에 등록된 호갱노노 이야기 수는 281개로 직전 동기간(84개)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GTX-A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지난해 3월 첫 개통한 수서~동탄에 이어 두번째로 운행을 시작한 구간이다. 파주운정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 22분 주파가 가능해졌고, 배차 간격 역시 약 10분으로 경의선 급행(30분)보다 짧은 데다가 추후 출퇴근 시간대 6분 간격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다만 늘어난 매매 문의와 비교해 거래는 늘지 않은 모습이다. 인근 단지의 최근 월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10월 45건이었던 매매거래량은 11월, 12월 각각 25건에 그쳤다.

가격 역시 최근 수도권 아파트 거래시장이 위축되어 있는 가운데 급매물 또는 저층 급매물 거래 위주로 거래가 되다 보니 인근 7개 단지의 지난달 평균 3.3㎡당 매매가격은 2739만원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거래는 늘지 않았지만 운정중앙역 인근 단지들의 호가 상승세는 뚜렷하다는 지적이다. 전용 59㎡ 기준 5억원 초중반이었던 매물은 최근 5억 후반에서 6억원, 전용 84㎡는 8억원대 매물도 출시되고 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교통 호재의 경우 타당성 평가, 착공 등 오랜 기간에 걸쳐 프리미엄이 이미 반영됐기 때문에 개통으로 인해 즉각적으로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면서도 "입지 개선 측면에서 임차 수요는 꾸준히 유지될 가능성이 높고 추후 상승장 진입 후 수요 유입에 따른 가격 반응 속도가 종전보다는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GTX-A 2026년 전 구간 운행, 2028년 삼성역 개통, 2030년 창릉역 개통 등 순차 개통과 관련해선 "경기 북부와 서울 도심을 관통해 경기 남부까지 이어지는 유례없는 수도권 광역 철도망이 갖춰진다면 주요 정차역 일대 부동산시장의 판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2“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3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4“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5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6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7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8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9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실시간 뉴스

1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2“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3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4“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5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