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한파’ 12월 취업자 감소…작년 연간 지표도 ‘뚝’
지난해 취업자 증가폭 15만9000명…예상치 밑돌아
비상계엄 여파에 소비심리 위축…고용시장 충격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지난해 일자리 증가폭이 급감했다. 비상계엄 선포 후 정치 혼란이 이어진 12월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9000명(0.6%) 늘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연간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2020년 이후로 최악의 고용성적표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9년 30만1000명 늘었다가 2020년에 21만8000명 감소했으나 이듬해엔 36만9000명 증가했다.
2022년에는 81만6000명 늘어나며 2000년(88만2000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폭을 기록했지만, 이후 2023년 증가폭이 32만7000명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5만명대로 반토막이 났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취업자 수가 4만9000명 줄었다.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감소 폭이 가장 크다. 도매 및 소매업(-6만1000명)과 제조업(-6000명) 등 주요 산업도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3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만5000명) 등 산업은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6만6000명, 30대에서 9만명, 50대에서 2만8000명 각각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20대는 12만4000명, 40대는 8만1000명 취업자가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8만3000명, 임시근로자는 15만4000명 각각 증가했다. 일용근로자는 12만2000명 감소했다. 2012년 12만7000명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만2000명)는 증가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4만4000명)와 무급가족종사자(-2만4000명)는 감소했다.
특히 ‘연말 고용한파’가 연간 통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5만2000명 줄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2월 47만3000명 줄어든 이후 3년 10개월 만의 마이너스다.
연말 정부의 각종 일자리사업이 종료된 데다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고용시장이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15만7000명), 제조업(-9만7000명), 도매 및 소매업(-9만6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19만4000명, 40대에서 9만7000명 각각 감소했다.
실업자는 17만1000명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 실업자가 17만7000명(49.2%)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실업률도 3.8%로 0.5%p 증가했다. 고용률은 0.3%p 감소해 61.4%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9000명(0.6%) 늘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연간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2020년 이후로 최악의 고용성적표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9년 30만1000명 늘었다가 2020년에 21만8000명 감소했으나 이듬해엔 36만9000명 증가했다.
2022년에는 81만6000명 늘어나며 2000년(88만2000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폭을 기록했지만, 이후 2023년 증가폭이 32만7000명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5만명대로 반토막이 났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취업자 수가 4만9000명 줄었다.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감소 폭이 가장 크다. 도매 및 소매업(-6만1000명)과 제조업(-6000명) 등 주요 산업도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3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만5000명) 등 산업은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6만6000명, 30대에서 9만명, 50대에서 2만8000명 각각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20대는 12만4000명, 40대는 8만1000명 취업자가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8만3000명, 임시근로자는 15만4000명 각각 증가했다. 일용근로자는 12만2000명 감소했다. 2012년 12만7000명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만2000명)는 증가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4만4000명)와 무급가족종사자(-2만4000명)는 감소했다.
특히 ‘연말 고용한파’가 연간 통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5만2000명 줄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2월 47만3000명 줄어든 이후 3년 10개월 만의 마이너스다.
연말 정부의 각종 일자리사업이 종료된 데다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고용시장이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15만7000명), 제조업(-9만7000명), 도매 및 소매업(-9만6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19만4000명, 40대에서 9만7000명 각각 감소했다.
실업자는 17만1000명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 실업자가 17만7000명(49.2%)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실업률도 3.8%로 0.5%p 증가했다. 고용률은 0.3%p 감소해 61.4%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계엄 한파’ 12월 취업자 감소…작년 연간 지표도 ‘뚝’
2 尹, 조사 종료…공수처서 서울구치소로 이동
3‘尹 조사’ 과천 공수처 앞 60대 男 분신해 숨져…경위 조사
4 과천 공수처 부근서 남성 1명 분신 시도
5설 연휴 해외여행 급증할 듯…인기 여행지는 日 도쿄
6남양유업, 홍원식 전 회장 일가 배임 혐의 추가 기소
7尹, 오후 조사도 진술거부…저녁 메뉴는 된장찌개
8“애인 있니?” 물어보면 15만원…설날 ‘잔소리 티셔츠’ 등장
9‘젊은 세대의 투자 흐름이 변하고 있다’…미국투자이민, 미영주권 설명회 관심 높아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