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멸망까지 남은 시간 “89초”
핵과학자회 ‘지구 종말 시계’ 초침 조정
‘핵전쟁 위험’으로 인해 1초 앞당겨져

미국 핵과학자회(BSA)는 28일(현지시간) ‘지구 종말 시계’의 초침을 ‘자정 89초 전’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핵과학자회는 인류가 ▲핵전쟁 ▲기후변화 ▲생물학적 위협 ▲인공지능(AI) 등 신기술로 멸망할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해 1947년부터 ‘지구 종말 시계’의 시간을 발표하고 있다.
해당 시계는 자정을 지구가 멸망하는 시점으로 설정하고 자정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이번에 발표한 89초는 작년 90초에서 1초 앞당겨진 것으로, 1947년 이래 가장 짧다.
시간이 앞당겨 진 이유로는 ‘핵전쟁 위험’이 지목됐다. 핵과학자회는 러시아가 미국과 체결한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 이행을 중단함과 동시에 중국은 핵무기를 빠르게 늘리고 있고, 미국도 핵무기 확대로 기우는 등 주의를 당부하는 역할을 포기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AI를 무기에 접목하려는 시도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우선순위 하향 조정 ▲위험한 생물학 연구에 AI 사용 등이 멸망을 앞당기는 원인으로 꼽혔다.
‘지구 종말 시계’는 처음 시작한 1947년에는 자정까지 7분이 남아있었다. 이후 소련이 핵폭탄 시험에 처음 성공한 1949년에는 자정 3분 전으로 조정됐다.
인류가 멸망에서 가장 안전했던 해는 미국과 소련이 전략핵무기 감축에 합의한 ‘전략무기감축조약’(START)을 체결한 1991년이다. 당시 시간은 자정 17분 전이었다.
2020년 이후에는 100초 전으로 유지해 왔으나, 2023년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핵무기 사용 우려가 커진 점을 반영해 90초로 당겨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2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
3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WTI 6.6%↓
4“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5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6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7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8'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9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