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AI가 사용자 대신 인터넷서 정보 조사하고 종합 분석한 보고서 제공
딥시크 ‘R1’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여전히 정보 신뢰성 검증에는 한계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미국의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가 생성형 AI 서비스인 챗GPT의 새로운 툴인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오픈AI는 이날 일본 도쿄에서 성명을 내고 “딥 리서치는 사용자를 대신해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오픈AI의 차세대 에이전트”라고 소개했다.
딥 리서치는 인터넷상에서 여러 단계의 복잡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툴로, 데이터 분석과 웹 브라우징에 최적화된 오픈AI의 추론모델인 ‘o3’으로 구동된다.
사용자가 딥 리서치에 명령을 내리면 챗GPT가 필요한 정보를 찾아서 분석하고, 텍스트·이미지·PDF문서 등 여러 온라인 소스를 종합해 리서치 애널리스트 수준의 종합적 보고서를 내놓는다고 오픈AI는 홍보했다.
오픈AI에 따르면 사람이 몇 시간이 걸려서 할 일을 딥 리서치는 수십 분 안에 마칠 수 있다고 한다.
딥 리서치의 일반적인 작업 시간은 5~30분가량으로, 웹상의 정보들을 심층적으로 파고드는데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므로 이용자들은 딥 리서치가 보고서를 내놓을 때까지 잠시 다른 일도 할 수 있다고 오픈AI는 설명했다.
오픈 AI 소속 연구원들은 이날 온라인 생중계 영상을 통해 딥 리서치가 웹상의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본에서 겨울 휴가를 보내는 사람에게 스키 장비를 추천하는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딥 리서치가 “매우 광범위한 복잡하고도 중요한 일들을 할 수 있는 첫 AI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는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를 의식해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딥시크의 ‘R1’ 모델보다 딥 리서치가 약 3배 높은 정확도를 갖췄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오픈AI에 따르면 100개 이상의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3000개 이상의 객관식·단답식 답을 구하는 AI 테스트에서 ‘딥시크-R1’의 정확도가 9.4%에 그친 데 비해, 딥 리서치의 정확도는 26.6%에 달했다.
오픈AI는 “딥 리서치를 구동하는 모델은 필요할 때 전문화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아냄으로써 인간과 유사한 접근 방식을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오픈AI는 그러나 딥 리서치가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초기 단계로 아직 한계도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딥 리서치가 “권위적인 정보를 루머와 분별하는 작업에서 고전할 수도 있다”면서 “현 단계에서는 신뢰수준을 높이는 데 있어 약점이 있으며, 정보의 불확실성을 정확히 전달하는 데 종종 실패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딥 리서치는 챗GPT의 유료 버전인 ‘챗GPT 프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웹 버전으로 서비스되며, 사용자들은 최대 월 100회 접속해 이용할 수 있다.
오픈AI는 이달 안으로 딥 리서치의 모바일과 데스크톱용 애플리케이션도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향후 몇 주 내로 딥 리서치의 기능에 이미지, 데이터 시각화 및 기타 분석 기능도 추가할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픈AI는 이날 일본 도쿄에서 성명을 내고 “딥 리서치는 사용자를 대신해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오픈AI의 차세대 에이전트”라고 소개했다.
딥 리서치는 인터넷상에서 여러 단계의 복잡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툴로, 데이터 분석과 웹 브라우징에 최적화된 오픈AI의 추론모델인 ‘o3’으로 구동된다.
사용자가 딥 리서치에 명령을 내리면 챗GPT가 필요한 정보를 찾아서 분석하고, 텍스트·이미지·PDF문서 등 여러 온라인 소스를 종합해 리서치 애널리스트 수준의 종합적 보고서를 내놓는다고 오픈AI는 홍보했다.
오픈AI에 따르면 사람이 몇 시간이 걸려서 할 일을 딥 리서치는 수십 분 안에 마칠 수 있다고 한다.
딥 리서치의 일반적인 작업 시간은 5~30분가량으로, 웹상의 정보들을 심층적으로 파고드는데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므로 이용자들은 딥 리서치가 보고서를 내놓을 때까지 잠시 다른 일도 할 수 있다고 오픈AI는 설명했다.
오픈 AI 소속 연구원들은 이날 온라인 생중계 영상을 통해 딥 리서치가 웹상의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본에서 겨울 휴가를 보내는 사람에게 스키 장비를 추천하는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딥 리서치가 “매우 광범위한 복잡하고도 중요한 일들을 할 수 있는 첫 AI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는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를 의식해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딥시크의 ‘R1’ 모델보다 딥 리서치가 약 3배 높은 정확도를 갖췄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오픈AI에 따르면 100개 이상의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3000개 이상의 객관식·단답식 답을 구하는 AI 테스트에서 ‘딥시크-R1’의 정확도가 9.4%에 그친 데 비해, 딥 리서치의 정확도는 26.6%에 달했다.
오픈AI는 “딥 리서치를 구동하는 모델은 필요할 때 전문화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아냄으로써 인간과 유사한 접근 방식을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오픈AI는 그러나 딥 리서치가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초기 단계로 아직 한계도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딥 리서치가 “권위적인 정보를 루머와 분별하는 작업에서 고전할 수도 있다”면서 “현 단계에서는 신뢰수준을 높이는 데 있어 약점이 있으며, 정보의 불확실성을 정확히 전달하는 데 종종 실패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딥 리서치는 챗GPT의 유료 버전인 ‘챗GPT 프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웹 버전으로 서비스되며, 사용자들은 최대 월 100회 접속해 이용할 수 있다.
오픈AI는 이달 안으로 딥 리서치의 모바일과 데스크톱용 애플리케이션도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향후 몇 주 내로 딥 리서치의 기능에 이미지, 데이터 시각화 및 기타 분석 기능도 추가할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라이엇 게임즈, 7번째 국외소재 문화유산 ‘경복궁 선원전 편액’ 환수 성공
2로레알, 사노피 지분 4조5000억원 처분
3“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4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14일 코스닥 상장
5尹, 20일 첫 형사재판...‘출석 여부’는 미지수
6외국인 떠난 삼성전자, ‘5만 전자’ 위태…목표가 ‘줄하향’ 무슨 일
7"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8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
9“금값 오르고, 비트코인은 뚝”...‘관세 전쟁’ 개막에 금융시장 출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