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작년 ELS 발행액 55조3천억원…전년比 12%↓

ELS에 묶인 자금은 51조6천억원

서울 중구 하나은행 현황판에 코스피 등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고변동 금융투자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의 작년 한 해 발행액이 55조2705억원으로 전년보다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이런 내용의 2024년 ELS 연간 발행 현황을 7일 공개했다.

ELS는 특정 주식이나 지수에 연계된 파생결합증권이다. 수익률이 높지만 시장 변동에 따라 원금 손실 위험이 커 난도가 높은 상품으로 알려져 있다.

모집 형태 별로는 공모 ELS 발행액이 50조6280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발행액의 91.6%에 달했다. 사모 ELS는 4조6425억원이 발행됐다.

기초자산 유형을 보면 국내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종목형 ELS가 29조8407억원 발행돼 비중이 54.0%로 가장 컸다. 국내외 지수에 연계된 지수형 ELS는 19조6718억원(35.6%)으로 그 뒤를 이었다.

작년에는 해외지수를 토대로 하는 ELS의 발행이 크게 줄었다.

미국의 S&P 500과 유럽의 EURO STOXX 50에 연계된 ELS는 발행액이 각각 12조9724억원과 11조7649억원으로, 전년보다 53.6%와 54.0%씩 감소했다.

반면 국내 KOSPI 200을 포함하는 ELS는 18조5943억원이 발행돼 전년 대비 1.8% 늘었다고 예탁원은 전했다.

작년 ELS 발행회사는 모두 22곳으로 이중 한국투자증권이 발행액 기준 점유율 14.9%로 가장 비중이 컸다.

신한투자증권(11.3%), NH투자증권(8.9%), 미래에셋증권(8.6%), 하나증권(7.7%)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상위 5개 증권사의 ELS 발행액은 28조4197억원으로 전체 발행액의 51.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ELS 상환액은 작년 한 해 71조181억원으로 전년 대비 6.5%가 늘었다.

유형별로는 만기상환과 조기상환 금액이 각각 43조2839억원과 24조4480억원이었다. 중도상환액은 3조2862억원이다.

작년 말 기준 ELS에 묶인 자금(미상환 발행잔액)은 51조5964억원으로 전년보다 23.1% 줄었다.

ELS 자금은 2022년 70조9059억원, 2023년 67조1352억원을 기록하며 최근 3년간 계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발렌타인데이 선물? 롯데면세점에서 고르세요”

2bhc 송호섭 대표 “체계적인 신메뉴 출시 등 브랜드 가치 강화”

3'똘똘한 중대형 한채' 가질 마지막 기회... '부산에코델타시티 대방 엘리움 리버뷰' 내일 8일(토) 행사

4'트롯 레전드' 해 진 날…송대관, 향년 79세 별세

5서울시, 전국 최초 '기계설비 성능 점검 표준 매뉴얼' 선보여

6한국 인터넷 플랫폼 기업 네이버 ‘매출 10조 원’ 시대 열었다

7불황에도 단지 내 상가는 끄떡없다… ‘더스카이시티 제니스&프라우 상업시설’ 본격 분양

8 '해뜰날' 부른 트로트 가수 송대관 별세

9‘통상임금’ 쓰나미 맞는 기업들…영업이익 ‘뚝’

실시간 뉴스

1“발렌타인데이 선물? 롯데면세점에서 고르세요”

2bhc 송호섭 대표 “체계적인 신메뉴 출시 등 브랜드 가치 강화”

3'똘똘한 중대형 한채' 가질 마지막 기회... '부산에코델타시티 대방 엘리움 리버뷰' 내일 8일(토) 행사

4'트롯 레전드' 해 진 날…송대관, 향년 79세 별세

5서울시, 전국 최초 '기계설비 성능 점검 표준 매뉴얼' 선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