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숙박비 얹고 숙박세 더”...日 지자체 ‘숙박세 폭풍’ 확산

숙박세 부과 지자체, 2년 만에 급증
교토시는 숙박세 1만엔 인상 검토

일본 도쿄 신주쿠 거리 모습. [사진 EPA/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된 이후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호텔 및 여관 투숙객에게 부과하는 숙박세를 도입하거나 이를 검토하는 지방자치단체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9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23년까지 숙박세를 부과하는 일본 내 지방자치단체는 9곳에 불과했지만, 올해 들어 지방의회에서 숙박세 도입을 결정한 곳을 포함해 총 25곳으로 증가했다.

숙박세는 개별 지자체가 조례를 통해 부과할 수 있다. 일본 총무성은 주민의 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 한 이를 승인하는 경우가 많다.

도쿄도는 지난 2002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숙박세를 도입했고, 현재 오사카부와 교토시 등 주요 관광도시도 숙박세를 징수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홋카이도 니세코초가, 올해 1월 6일에는 아이치현 도코나메시가 각각 숙박세 부과를 시작했다. 홋카이도 아카이가와무라와 시즈오카현 아타미시도 총무성의 승인을 받아 숙박세 도입을 확정했다.

여기에 더해 오키나와현과 지바현, 구마모토시 등 약 40개 지자체가 숙박세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특히 교토시는 기존 1000엔(약 9600원)이던 숙박세 상한액을 10배인 1만엔(약 9만60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숙박세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일부 지자체는 숙박세 부과가 숙박객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 간 이견이 존재하는 지역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은 전년 대비 47.1% 증가한 3687만명을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6'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7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8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9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

실시간 뉴스

1‘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2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3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4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5"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