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래서 아파트 가격 비싸졌나”…시스템가구 업체 10년 담합 적발

20개 업체, 190번 담합…사다리 타기로 순서 결정
“시공비 최대 350만원 상승 요인”
3324억원어치 입찰, 과징금 183억·4개 업체 검찰 고발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건설사가 발주한 아파트 시스템 가구 입찰에서 20개 업체가 담합해온 사실이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20개 가구사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총 183억원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시스템 가구는 알루미늄 기둥에 나무 소재 선반을 올려 제작하는 가구로 드레스룸 등에 들어간다. 적발된 업체는 넥시스디자인그룹·넵스·동성사·미젠드·라프시스템·스페이스맥스·아이렉스케이엔피·에스엔디엔지·영일산업·우아미·우아미가구·쟈마트·제이씨·창의인터내셔날·케이디·콤비·한샘·한샘넥서스·가림·공간크라징 등이다.

업체 영업담당자들은 2012년 2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약 11년 간 16개 건설사가 발주한 총 190건의 시스템 가구 입찰에 참여하면서 사전에 낙찰예정자와 입찰가격을 합의해 짬짜미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사다리 타기·제비뽑기 등의 방법으로 낙찰 순번까지 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낙찰 받기로 결정된 회사들은 들러리 참여사에 물량 일부를 나눠주거나 현금을 지급하는 등 이익을 공유하기로 약속하고 문서까지 남긴 것으로 조사됐다.

합의에 가담한 사업자가 낙찰 받은 건수는 190건 중 167건에 이른다. 관련 매출액은 총 3324억원으로 집계됐다. 담합 결과 계약 평가액이 오르면서 아파트 평형에 따라 55만∼350만원까지 시공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담합 대상이 된 아파트에는 서울시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 아파트)도 포함됐다.

과징금은 동성사(44억6900만원), 스페이스맥스(38억2200만원), 영일산업(33억2400만원), 쟈마트(15억9300만원), 한샘(15억7900만원) 순으로 높았다. 공정위는 가담 정도와 조사 협조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한샘·동성사·스페이스맥스·쟈마트 등 4개 업체 법인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지난해 4월에도 31개 업체의 내장형 특판가구 입찰 담합을 적발해 93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10월에는 9개 업체의 시스템 욕실 입찰 담합을 조사해 과징금 67억원을 물렸다. 

문재호 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은 “시스템 가구 입찰 시장에서 10년이 넘게 관행처럼 이루어지던 담합을 적발해 국민의 보금자리인 아파트의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위법행위를 시정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