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자산운용 ‘PLUS고배당주’ ETF 순자산 5000억 돌파
외국납부세액 개편 효과…국내 배당주 ETF 관심 집중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한화자산운용은 ‘PLUS고배당주’ ETF의 순자산총액이 5000억 원을 넘어섰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종가 기준 ‘PLUS고배당주’의 순자산총액은 5018억 원으로, 국내 주식형 배당주 ETF 중 최대 규모다. 특히 최근 7거래일 동안 개인 투자자의 순매수 규모가 약 269억 원에 달해 눈길을 끈다.
한화자산운용은 이러한 개인 투자자의 자금 유입 배경으로 절세 계좌 내 해외 펀드·ETF의 분배금 감소 우려를 꼽았다. 최근 외국납부세액 공제 방식 변경으로 인해 연금계좌(퇴직연금·개인연금) 및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활용한 해외 펀드 투자 시 과세이연 효과가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대체 투자처로 국내 배당주 ETF에 관심이 집중됐다는 분석이다.
국내 기업의 배당소득은 외국납부세액이 없어 연금계좌에서 ‘PLUS고배당주’에 투자하면 과세 없이 배당금을 재투자할 수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PLUS고배당주’의 분배금 재투자를 감안한 최근 1년·3년·5년 수익률은 각각 78.5%, 37.3%, 15.3%(2025년 2월 12일 종가 기준)로 나타났다.
이 ETF는 연 5~6% 수준의 분배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하며, 2012년 상장 이후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15.4%에 달한다. 지난해 5월부터 분배금 지급 주기를 연 1회에서 월 1회로 변경해 매월 주당 63원을 고정 지급하고 있다.
주요 구성 종목은 기아, 기업은행, 우리금융지주, 삼성증권, DB손해보험, SK텔레콤, 삼성카드 등으로, 금융주 비중이 67%로 가장 높다. 통신서비스(12.8%), 경기소비재(6.3%), 필수소비재(5.7%), 에너지(3.7%) 등 다양한 업종에도 분산 투자하고 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PLUS고배당주는 실적이 탄탄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안정적인 배당이 가능하다”며 “연금계좌에서 투자 시 효과가 극대화되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2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4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5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6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7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8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9‘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