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장님, 우리 헬스장만 없어요?'...국내 헬스장 12% 가격 표시제 안지켜

국내 헬스장 10곳 중 1곳 이상이 여전히 가격 표시제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에 대한 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위반 사업장에 대한 과태료 부과 등 후속 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24일 소비자단체와 함께 전국 11개 시도에 위치한 2001개 헬스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헬스장 가격표시제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점검 대상의 12.4%인 248개 헬스장이 서비스 내용, 요금체계, 환불 기준 등을 사업장 내 게시물과 등록신청서에 명확히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2023년 조사 당시 10.7%에 달했던 미이행 비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2021년 표시·광고법 개정에 따라 체력단련장(헬스장), 수영장, 종합체육시설 등의 사업자는 서비스 내용과 요금체계, 환불 기준 등을 사업장 내 게시하고 등록 신청서에도 명시해야 한다. 이는 가격 및 환불 규정이 불명확해 발생하는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99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49곳), 대전·세종·충남(40곳), 전남(34곳), 대구·경북(14곳), 부산·경남(8곳), 인천(4곳)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는 조사 대상 300개 헬스장 중 99곳(33%)이 의무를 준수하지 않아 가장 준수율이 낮았다.
이번 조사는 과거 준수 비율이 비교적 낮았던 헬스장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을 확대해 진행됐다. 공정위 관계자는 "중요한 정보 게시 의무에 대해 여전히 상당수 헬스장 사업자들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가격 표시제를 이행하지 않은 헬스장에 대해 이행을 다시 유도한 뒤, 필요 시 과태료 부과 등 강력한 후속 조치를 검토할 방침이다. 또한, 올해 상반기 중 ‘중요한 표시·광고 사항 고시’를 개정해 체육교습업(13세 미만 어린이 체육교실)도 가격 표시제 적용 대상에 포함하고, 이에 대한 실태조사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헬스장 이용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사업자의 불투명한 가격 운영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지속적인 점검과 제도 개선을 통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